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식물들이 자라며 산 중턱에는 한반도의 식물과 비슷한 종들이 분포하고 한라산 정상
근처
에는 고산성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1천 8백여 식물이 해발 고도에 따라 수직 분포된 식물의 보고를 이룬다.또 제주도가 대만 일본 중국대륙과 한반도의 한가운데에 있어 바닷물의 흐름이나 ... ...
목성고별관측 - 혜성충돌자국선명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적위값이 작아 태양이 지고 곧바로 따라 지므로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다행인 것은
근처
에 밝은 금성이 있다는 것이다. 금성과 수성의 적경 적위 값을 이용하여 수성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이용하여 확인해보라.붉은 행성, 화성의 출현자정을 넘어서면서 가을철을 대표하는 ... ...
페르세우스 유성우 여름밤 별똥축제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있는 대상이다. 내행성인 수성과 금성의 움직임은 화성보다 빠르지만 이것들은 지평선
근처
에 머무르기 때문에 일반 별들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를 잘 느끼지 못한다.반면에 화성은 움직임의 속도가 빠르면서 외행성이라는 장점 때문에 높은 고도, 그리고 완전 천문박명 상태에서 관측할 수 있으므로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강하게 밀려 나간다. 한편 큰 입자는 인력이 광압보다 크게 작용하므로 혜성의 궤도
근처
를 운동한다.그런데 혜성 특유의 꼬리를 만드는 먼지 입자의 운명은 무엇일까? 대부분의 입자는 마지막에는 태양계 밖으로 밀려 나가게 된다. 또 매우 큰 입자는 혜성과 궤도를 같이하면서 마지막에는 태양계의 ... ...
(1) '외계물체 충돌'이 천지 창조했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혜성들과의 충돌 때문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지구가 생기고 수억년이 지난 뒤 태양계
근처
를 지나가던 항성이 지구 주위에 있는 오르트 구름을 섭동시켜 오르트 구름을 형성하고 있던 수많은 혜성들을 태양계 안쪽으로 떨어지게 만들었다는 이론이다.이 오르트 구름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가상의 ... ...
(4) 슈메이커-레비 혜성, 새 목성테 형성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없어질 것이다. 그러나 대류권에서의 현상은 잘 예측할 수 없다.만약 폭발 당시 10기압
근처
의 분자들이 대류권에 뿜어 올려져 그 곳에서 태양 빛의 영향을 받아 붉은 색깔을 띤 색소들을 만들어내면 충돌 크기 만한 '적반'을 만들어낼 수 있다.그러나 폭발 당시의 힘으로 '대적반' 같은 소용돌이를 ... ...
천왕성과 해왕성, 사수자리주변 배회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때문에 해왕성을 찾아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다. 다행인것은 7월 중 해왕성은 천왕성
근처
에 있기 때문에 천왕성을 찾은 다음 성도를 확인하여 해왕성을 찾아 갈 수 있을 것이다.■ 수성의 서방최대이각혜성이 목성에 충돌하는 17일은 수성이 서방최대이각이 되는 날이기도 하다. 수성은 태양계의 ... ...
2. 태양계 축소판, 16개 위성과 소행성 가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이들 소행성들은 태양과 목성을 긋는 선을 밑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꼭지점
근처
에 모여 있다. 이곳은 중력의 '말안장'이라는 곳으로 소행성이 지나가다가 이 말안장에 잡혀버리는 곳이다. 따라서 일정한 소행성의 수가 이곳에서 유지된다(그림4). 따라서 목성은 이들 소행성들을 마치 목자가 ... ...
소행성에도 위성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어떻게 생성됐는지는 아직까지 미지수. 이다의 부스러기일 수 있고 다른 파편이 이다
근처
를 지나다가 포획된 것일 수도 있다. 이 의문은 갈릴레오가 찍은 사진을 보다 면밀히 관찰하면 풀릴 수 있을 것이라고 NASA측은 밝혔다 ... ...
3. 컴퓨터 모의 실험- 세기적 '우주쇼' 대예측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된다. 이러한 이온들의 전체 양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 양에 따라서 목성의 극
근처
에서 일어나는 오로라 현상에 극심한 변화를 초래할지도 모른다.다섯째 호라니 박사에 따르면 혜성의 꼬리에서 나온 물질들로 인해 목성의 주위에 또 하나의 테가 3-4년 내에 생성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는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