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d라이브러리
"
바
"(으)로 총 3,11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론 VS 창조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있다. 하지만 설명의 핵심은 기독교 교리의 해석에 대한 것이 아니다. 진화론과 창조론의
바
탕 위에서 모든 자연법칙의 적용 가능성을 존중해야만 인류가 생명탄생의 베일을 벗기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진화론을 반대하기 위한 창조론, 혹은 창조론을 반대하기 위한 진화론보다는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진출할 예정이다.과학실험 위성은 과학기술처가 '국가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에서 밝힌
바
와 같이 위성에 대한 선진 기술과 기반 기술을 연구하고, 과학 탑재체를 통한 실험을 목적으로 계속 개발될 것이다. 특히 과학실험위성 개발은 우주 개발에 필요한 연구원을 양성하는 중책을 맡고 있다 ...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지상에서는 이러한 관측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우주망원경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은
바
로 이 때문. 가니메데에 오존이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첫번째 힌트를 얻은 것은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의 레인(Arthur L. Lane) 박사와 허블팀이 자외선관측위성(IUE)을 이용해 가니메데를 관측했을 때였다. 그러나 ... ...
2 온도·습도-쾌·불쾌의 가늠자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것으로는 자연풍이나
바
로크 음악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을 응용해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
람이 자연풍에 가까운 주파수 패턴을 가지도록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쾌적감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 ...
Ⅲ 한국형 감성공학, 세계로 나간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상업화 이전에 있는 기술을 도입해서 엔지니어링을 통해 곧
바
로 상품화 한다는 이른
바
'미드 엔트리(mid-entry) 전략'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이 연구는 이박사의 말처럼 축적된 기초자료가 국내에 거의 없는 상태에서 진행되는 까닭에 사상누각(砂上樓閣)이 될 공산도 없지 않다는 주장이 조심스레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무릇 오장육부와 십이경수(十二經水)는 각각 밖으로 원천(源泉)이 있고 안으로 연결되는
바
가 있으니 안팎이 서로 관통해 마치 고리처럼 끝이 없다. 사람의 경락 또한 그러하다"고 했다. 피부 아래에 존재하면서 지하수맥 역할을 하는 경락과, 외부로 드러나 연결돼 원천으로서 기능을 갖는 경혈의 ... ...
암 연구에 일생
바
친 스승 뜻 이어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연세대학교 암센터병원에서 암 연구에 노력할 수 있었던 것도 이 분의 가르침에 힘입은
바
크다. 파버 선생과 같이 젊은 나이에 학문에 대한 뜻을 두고, 남이 힘들어 기피하는 분야를 연구하면서 인류에게 혜택을 주고 학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은 큰 보람이다 ... ...
1 하드웨어-마음에 쏙드는 제품으로 뜯어 고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이다.그래픽카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중 하나가
바
로 비디오 메모리다. 비디오 메모리는 용량이 클수록 해상도와 색상수를 높일 수 있는데 액셀러레이터 칩에 따라 최대 해상도와 색상 수가 제한돼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 비디오 메모리를 늘인다고 해서 무조건 ... ...
4 조명-심리를 좌우하는 테크놀러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적정 조도는 작업의 성격이나 작업자의 연령 등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
에 따르면 세밀한 주의력이 필요한 작업의 경우에는 작업면에 7백50-1천5백Lx, 평상작업에는 3백-7백50Lx 정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노인들에게는 정상인보다 2배의 조도가 필요하다.전체를 밝게 하는 면(面)광원은 ... ...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받침대 끝부분에 긴 작대기를 두개 붙이고 사람이 여기에 의지해 발판을 밟으면
바
퀴가 돌아간다. 이때 아래의 물은 나무로 만든 홈통을 따라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보다 높은 곳으로 물을 퍼올리기 위해서 이단으로 무자위를 설치하기도 했다.이 밖에도 물풍구라는 수리도구가 있었다. 대장간에서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