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따라서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를 ‘경제성 있게’ 활용하는 방법을 찾으면
인류
는 에너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석유 수준에 다가가는 경제성“지난해 세계 최초로 6세대 다결정 실리콘 잉곳을 양산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5월 상용화될 예정인데 실리콘 웨이퍼의 ... ...
인류
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사이의 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현생
인류
의 3분의 1 수준인 420cm3에 불과한데도 다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류보다 현생
인류
에 가까운 신체 특징이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두뇌 크기와 신체적 특징(예를 들면 직립보행)이 함께 변화했다는 기존 주장을 뒤집을 수 있기 때문이다.이에 대해 윌 아르농쿠르-스미스 ... ...
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화학을 젊음, 열정, 시간을 투자해 볼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해, 화학을 통해서
인류
사회에 보탬이 되는 일을 할 수 있다는 꿈과 희망을 갖기를 바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Part 3.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선택했던 야생동물은 요즘엔 도대체 어디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 걸까. 2파트에서 가축과
인류
의 요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rto. 나는 가축이다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Part 2. 고기공장에 갇힌 ... ...
언어의 고향은 아프리카?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자체적으로 말을 만들었기 때문”이라며 “아프리카로부터 먼 거리를 이동해 정착한
인류
일수록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든다는 생물학 용어인 ‘창시자 효과’가 언어에도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4월 15일자에 게재됐다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할 가장 큰 과제는 무엇일까요?김 18세기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비약적으로 발전한
인류
는 반대급부로 환경오염, 에너지위기 같은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제 화학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주안점을 두고 환경과 에너지 분야에서 많은 연구를 해야 합니다. 대한화학회는 ‘화학이 지구를 ... ...
Part 3. 원전과 오토바이, 뭐가 더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재앙을 겪은 팬데믹(대유행병)이 다시 유행한다면 해당 지역주민은 두려움에 떨 것이다.
인류
는 중세 때 유럽인구의 3분의 1이 흑사병의 제물이 됐고, 1918~1919년 1차 대전 때 스페인에서 시작된 독감이 수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역사적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 때문에 2008년 신종플루 유행 때 새로운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위치한 간헐천은 현재 600MW 이상의 전기를 생산한다.하지만 갑작스러운 화산폭발은
인류
에게 재난이다. 지난 500년 동안 화산 분화로 약 25만 명이 죽었다. 현재 기술로 화산 분화는 막을수는 없지만 위험한 화산을 식별하고 잠재적으로 재해를 피할 수는 있다. 과학자들은 화산이 분화하기 전에 ... ...
왜 1+1=2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말하자면 우리가 사용하는 자연수가 그렇게 생겼기 때문입니다.자연수는 아주 오래전에
인류
가 처음으로사용한 수입니다. 언젠가부터 너무나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어‘자연수는 이러이러한 수다’라고 말하는 것 자체가 오히려 어색하죠. 그래도 수학은 논리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단어는 공청회를 뜻하는 라틴어(forensis)에서 유래했다.셜록 홈즈는 과학수사 선구자
인류
는 언제부터 과학수사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을까. 과학을 접목해 사건을 해결하고 범인을 잡자는 생각을 처음으로 한 사람은 ‘셜록 홈즈 시리즈(1887~1905년)’를 지은 코난 도일이다. 그는 영국의 유명한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