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물
작
예술품
미술품
문학
문예
문헌
d라이브러리
"
작품
"(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들어와 있는 7인치 막스토브와 성능 비교도 해볼 예정.개인 천문대의 꿈이만성씨의
작품
중 단연 압권은 85년부터 시작해 현재 95%의 진척을 보이고 있는 12인치 슈미트 카세그레인식 망원경. 아직 용의 눈에 점찍는 일(畵龍點睛)을 안하고 있는 이유는 이 망원경을 설치할 개인 돔을 마련하지 못했기 ... ...
개량형 틀니 개발해 국제발명전 휩쓴 치과의사 윤한석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간호사와 기공사 노릇을 겸하며 기공일을 손에 익힌 것이 연구에 도움을 줬다. 사실 그의
작품
들은 어떤 기공사의 도움도 얻지 않고 모두 자신의 손으로 만든 것이다.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산다는 일에 항상 칭송이 따르거나 적절한 보상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윤씨 자신은 한국인으로서 외국 ... ...
(4) 남녀 성결정의 마지막 열쇠 XY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것이다.인간의 성별을 결정하는 과정은 참으로 오묘하다. 조물주가 만든 오묘한 예술
작품
을 이해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노력은 앞으로도 끊임없이 이어질 것이지만 이러한 과학적 노력과 함께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도 병행돼야 할 것이다.중성, 왜 태어나는가?반음양이라고 일컫는 중성은 ... ...
옛 것이 새 것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할 수 있다.셋째, 소리가 모터를 돌리는 장치를 들 수 있다. 발명왕 에디슨의
작품
으로 소리의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여 바퀴를 회전시키는 기발한 착상이다. 소리의 진동으로 진동판을 움직여 그 힘으로 관성바퀴를 돌리는 원리다. 당시의 기술로는 실용화할 수 없어 결국 에디슨의 노트 속에서 ... ...
반(反)그리스도 숫자 666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개수b. 원숭이가 아무렇게나 타이프를 두드렸을 때 이 결과가 세익스피어의 햄릿이라는
작품
이 되는데 필요한 사도의 횟수c. 이 우주를 채우고 있는 전자 양자 중성자의 개수d. 현재까지의 수학적 증명에 나타난 가장 큰 숫자① a ② b ③ c ④ d맞춰보고(1) ④ 알파벳의 순서에 따르면 컴퓨터(computer)란 ... ...
(1) 한 악기로 오케스트라 효과 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아니면 컴퓨터를 이용해 모든 악기들로 미리 연주를 해봄으로써
작품
해석이나 녹음전의 모니터용으로 쓴다고 해도 그 가치는 충분하다고 본다.컴퓨터음악은 분명히 더욱 발전해 나가겠지만 아무리 발전한다해도 이를 연주해야 하는 것은 사람일 뿐이다. 그 연주할 내용 또한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한 과학자가 감정을 넣어줌으로써 기계들이 대반란을 일으키게 된다는 내용이다. 이
작품
의 배경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탱크나 자동화기들이 인간에게 해악을 끼친다는 바탕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 시대 사람들에게 자동기계는 대단히 위험하고 우악스럽게 생각됐을 것이다.로봇이 실제로 ... ...
마우스가 펼쳐내는 마술의 창(窓)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소프트웨어도 있다고 한다. 또 멀지 않아 외국의 윈도우용프로그램에 버금가는 멋진
작품
도 나올 것이라고 한다. 참으로 반가운 일이다. 우리의 컴퓨터산업도 그렇게 조금씩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그런데 우리가 이쯤에서 한번 짚어보아야 할 것이 있다. 윈도우가 개발된 이유,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최초의 텔레타이프를 만든 사람은 뉴질랜드 출신인 도널드 머레이라는 기사였다. 최초의
작품
은 원통형의 글판을 손으로 돌리는 정도로 조악했다. 주위에선 재봉틀과 손풍금의 합작이라는 둥, 소시지 제조기라는 둥의 혹평을 받았지만 머레이는 이에 굴하지 않고 개량을 거듭하여 상당한 수준으로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괴물이 탄생 한 것 같이 기사화되었다. 어떤 신문은 퍼셉트론을 이용해서 셰익스피어
작품
을 해설할 시대가 올 것이라고 떠들었다. 로젠블랫의 연구 결과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에는 상향식 방식이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문제는 어떻게 하면 퍼셉트론을 빨리 훈련시키고, 또한 그 덩치를 크게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