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부터 15까지 수를 알파벳으로 나타낸다. 111을 16진법으로 표현하면 6F다. 와트니는 질문을 적은 카드 한 장과 0부터 9까지 적힌 카드 10장, A부터 F까지 적힌 카드 6장을 카메라 주변에 둥글게 늘어놓았다. 이제 카드 한 장에 약 21°의 공간을 할애할 수 있다. 여전히 느리긴 하지만 전보다는 나아진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지니어스 팬이다. TV를 볼 때 진지하게 분석하는 스타일이 아니라 생존법을 생각해본 적은 없다(웃음).송 : 지니어스 게임 중에 인디언포커를 분석할 수 있을 것 같다. 인디언포커도 결국은 얼마나 거짓말을 잘 하냐의 싸움이다.이 : 방송에서 사용했던 게임을 조금 단순하게 만들어 보자. 실제 ...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구를 닮은 다면체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 결과 풀러는 전통적인 건축물보다 훨씬 더 적은 재료를 사용해 더 큰 공간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건축 양식인 지오데식 돔을 개발했다.세 사람은 새 물질의 구조가 이와 닮았다는 결론을 내리고, 건축가 풀러의 이름에서 본 떠 새로 발견한 물질을 ...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티에리 보르니에는 프랑스에서 경영전문대학원(MBA)을 졸업하고 뉴욕에서 7년 동안 제공공기관의 최고재무관리자(CFO)로 일했다. e메일 인터뷰에서 보르니에는 “내가 정말로 사랑하는 일을 시작하면 내 삶이 어떻게 될까”라는 생각을 했다고 전했다. 사진작가가 된 그가 향한 곳은 아무 연고도 없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가더라고요.이렇게 동물행동학자가 되면 오지에도 많이 가야 되는데, 그게 힘들었던 적은 없어요. 늘 즐거웠어요.가장 행복했던 때는 언제인가요?어렸을 때부터 정글에 가는 게 꿈이었어요. 저는 비를 맞는 걸 정말 싫어하는데, 처음 열대의 정글에 갔던 날 비가 막 쏟아졌어요. 그런데 그날 정글의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지난 7월, 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 한 해 동안 인터넷 중독 실태를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3명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속한다고 발표했다. 이 비율은 성인(11.3%)의 약 2.6배(29.2%)나 될 뿐 아니라 2011년(11.4%), 2012년(18.4%), 2013년(25.5%)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성인보다 청소년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동남아시아에는 아주 특별한 도마뱀이 산다. 몸길이 약 20cm 정도 되는 이 작은 도마뱀은 나무 위에서 사는데, 가지에 앉아서 쉬고 있는 모습은 매우 평범해 보인다. 하지만 근처로 다가가면 다른 도마뱀들이 보여주지 못하는 기이한 묘기를 보여준다. 옆구리에 달린 ‘날개’를 펼쳐 가지에서 뛰어 ...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런던 교외에 사는 선물 트레이더인 36살의 나빈더 싱 사라오가 범인으로 지목됐다. 미국 법무부에 따르면 그는 2010년 4월부터 4년간 22건의 불법거래로 500억 원을 벌어 들였다. 당국은 그가 고빈도매매(HFT, High frequency trading)의 일종인 ‘스푸핑’으로 주가를 조작했다고 밝혔다. 스푸핑은 허위로 대량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조재원 교수가 속해있는 북한물문제연구회는 북한의 물과 정수시스템을 연구하는 단체로, 올해 3월에 결성했다. 연구회에는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2명과 한국수자원공사 직원 1명, 그리고 조 교수까지 총 5명의 회원이 있다. 현재 회원을 모집 중이며, 10월 창립총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연구에 나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특히 인기가 많다는 소문이!). 명왕성은 지름이 2372km 즉 지구 지름의 18.5% 정도 된다. 면적은 러시아 면적과 유사하다. 이중 ‘하트’ 모양의 얼음 지형(NASA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학자 이름을 따 이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빛을 반사해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