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긴 전자기파인 전파를 관측하는 망원경으로, 안테나처럼 수신기에 전파 신호를 모으지요.지금까지 만들어진 가장 큰 단일 전파망원경은 중국의 ‘톈옌’이에요. 지름만 500m에 달하는 거대한 구면 전파망원경이지요. 그런데 셉타르시 반디요파디예 박사는 달에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크레이터에 ... ...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현실이 되려면 한참 멀었군요?하지만 많은 연구는 사람들이 필요로 하기 전에 시작돼요. 지금 지구를 휩쓰는 코로나19바이러스에 대처할 수 있는 것도 생물학이나 컴퓨터 공학이 이전부터 연구되었기 때문이에요. 지구로 소행성이 날아온다면, 로켓을 만드는 사람들의 연구가 인류를 구하겠죠. 만약 ... ...
-
- [특집] 종이접기로 수학 문제도 푼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순다라 로가 임의의 각을 3등분하는 문제를 종이접기로 푸는 방법을 처음 소개한 뒤,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이 나왔어요. 여기서는 일본의 종이접기 작가 아베 히사시의 방법을 알아봐요. 두 번째 문제 부피가 2배인 정육면체의 한 변의 길이를 찾아라어떤 정육면체가 있을 때 부피가 2배인 ... ...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필즈상과 노벨상은 수학과 과학 분야에서 위대한 연구를 한 수학자와 과학자에게 주어지는 명예로운 상입니다. 이런 연구는 어떻게 탄생할까요? 그 비밀은 ‘ ... 온라인 협업 프로젝트입니다. 우수 질문으로 선정된 분에게는 푸짐한 선물도 드리니 지금 바로 여러분의 질문을 올려주세요 ... ...
-
- 도전!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가설’이라 불리는 여러 추측을 발표했고, 이에 대한 연구는 물리학계와 수학계에서 지금까지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끝으로 블랙홀 실재 관측 증거를 발견해 펜로즈 교수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과학자들의 업적이나, 2019년 사건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에서 처음으로 블랙홀의 사진을 ...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과학기술은 수십 년이 흘러 비로소 실현됐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성장이 한층 더 빨라진 지금 시대의 SF 속 과학기술은 현재의 과학기술과 궤를 같이한다. 이에 2010년대 SF 작품의 과학기술이 현실에선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비교해봤다. 작품은 ‘SF계 노벨상’이라 불리는 휴고상과 국내 최초의 SF ... ...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애니메이션 관련 굿즈(상품)를 사러 가는 등 외출로 쓰는 돈이 꽤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모든 취미를 멈추고 필수 생활비로 쓰고 남은 금액은 저축하고 있다.도쿄대 학비는 한 학기 당 50만 엔(약 540만 원)정도다. 자비로 이 학비를 내고 다니는 사비유학생은 거의 없고, 대부분 국비유학생이다. ... ...
-
-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연구들, NIAC로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NIAC에서 진행한 연구가 너무 공상적이라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저는 NIAC가 지금은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 생각해요. 많은 NIAC 연구는 어렸을 적의 꿈이나 SF 소설의 아이디어가 현실에서 가능한지 다루고 있거든요. 만약 연구 결과가 부정적으로 나와도, 그 결과가 다른 분야의 ... ...
-
- [가상인터뷰] 치타 닮은 소프트 로봇, 리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다른 소프트 로봇보다 빨라. 내 몸에 지느러미를 붙이고 물속을 헤엄쳐본 결과 지금까지 가장 빨리 수영하는 소프트 로봇보다도 빨랐단다.Q. 왜 그렇게 빠른 거야?비결은 바로 내 허리에 있어. 지에 인 교수는 치타에서 영감을 받아 치타처럼 유연한 허리를 개발했지. 내 허리를 스프링으로 만든 거야. ... ...
-
- 과학난제 2. 기후변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때문이죠. 이렇게 기후가 급격히 변하는 시점을 ‘기후변화 임계점’이라고 불러요. 지금으로선 그 임계점이 언제쯤인지 예측할 수 없지요. 기후변화 예측에 사용되는 시뮬레이션이 아직 임계점에 대한 학습이 되어 있지 않아 급격한 기후변화를 ‘데이터 오류’라고 받아들이거든요.이에 국종성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