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마성의 퍼즐게임은 어떻게 기획할까?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등의 수학, 과학 원리를 많이 사용합니다. 여기에 자신만의 이야기를 더하면 더 흥미진진한 게임이 만들어지죠. 폴리매스 홈페이지(polymath.co.kr) → [주니어 폴리매스] → [게임 디자인 씽킹]게시판에서 얼음 꽁꽁 북극 게임을 변형한 퍼즐 게임 디자인 예시를 보고, 여러분도 자신만의 재미있는 ... ...
- [과학뉴스] 사람처럼 땀 뻘뻘 흘리는 로봇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물이 기체로 변하며 열을 빼앗아 표면 온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이에요. 금속으로 만들어진 로봇은 열을 빨리 식히는데, 소프트 로봇은 주로 고무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져 열을 빨리 식히기 어려워요. 그래서 셰퍼드 교수팀은 물을 배출해 소프트 로봇도 열을 빨리 식히도록 만든 거죠. 연구팀은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장실,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望遠鏡·Telescope) 망원경은 ‘바라볼 망(望)’과 ‘멀 원(遠)’, ‘거울 경(鏡)’이 합쳐진 단어예요. 이름 그대로 먼 곳에 있는 물체를 크고 정확하게 보기 위한 장치지요. 일반적으로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물체일수록 작아 보이는데,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조합해 마치 가까이에 있는 것처럼 ... ...
- [한페이지 뉴스] 평면렌즈 하나로 6m 거리까지 선명하게 찰칵!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성공했다. 파장이 850nm인 빛으로 시험한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지름 1.8mm의 MDL은 20cm 떨어진 피사체부터 약 6m 거리의 피사체까지 다양한 물체의 초점을 동시에 맞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모든 가시광선 파장대에서 이와 같이 작동하도록 성능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매넌 교수는 ... ...
- [잘자란당 기호1 나미래] 실험하고, 진로찾고 즐거운 과학을 꿈꾼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두 번으로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수능 한 번으로 대학 진학이 결정되는 현행 제도가 입시 스트레스와 과도한 경쟁을 부추긴다는 것이다. 실제로 1년 2회 수능 시험은 2019년 11월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총회에서 현행 대입제도 개선안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강재희 ... ...
- 가장 과학적인 게 가장 예술적이다, 미술작품 속 숨겨진 빛의 과학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길 건너편 방에 세를 얻고 몇 달 동안 같은 각도에서 성당을 그렸다. 고딕양식으로 지어진 루앙대성당은 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장식들로 이뤄져 있어, 건초더미와 마찬가지로 모네에게 빛을 탐구하기 좋은 대상이었다.크고 작은 첨탑, 뾰족한 아치, 다양한 모양의 장식들은 태양빛의 각도와 아침과 ... ...
- [수학뉴스]57년 묵은 ‘링겔 추측’ 풀렸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완전 그래프에서 조건에 맞게 선을 색칠하고 각각의 서로 다른 색을 모두 가진 하나의 나무 그래프를 복사해 전체 그래프를 채우는 방법입니다. 아직 공식적으로 증명이 확인된 상태는 아닙니다. 하지만 논문을 검토한 수학자들은 새로운 발견이라며 흥분하고 있습니다. 질 칼리이 이스라엘 ... ...
- [매스크래프트] 대칭의 끝판왕! 인도의 타지마할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것을 알 수 있겠죠? 완벽한 대칭이 주는 극강의 아름다움! 여러분 주변에서 대칭을 가진 물체와 생명체를 찾아보세요! ※편집자 주 LOL, 오버워치, 배그부터 다양한 인디게임까지 섭렵한 게임 인생 6년차 퓨처킴. 하지만 마인크래프트(이하 마크)는 처음이다. 회사에서 게임하는 게 조금 눈치 ... ...
- [지구사랑탐사대] 어과동 키즈, 지사탐 어벤저스 되다! 스파이더맨 이형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했다는 의미예요. 2016년, 진도 해안가에서 신종 ‘진도어리왕거미’를 처음 만났어요. 내가 전 세계 최초로 이 거미를 발견했다고 생각하니 정말 성취감이 컸죠. 이름도 저와 김주필 교수님이 함께 지었어요. 거미는 모든 종마다 생식기가 다르게 생겼어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바퀴 없이 움직이는 롤러코스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세기가 달라지면서 코일에 전류가 흘러요. 우리가 쓰는 전기는 이런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답니다. 왜 이런 일이?☞ 결과 : 나사에 자석처럼 금속 조각이 붙는다! 구리선을 나사에 코일처럼 감아준 후 건전지에 연결하면 구리선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돼요. 그러면 전류가 구리선 코일을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