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 살아 있는 심장으로 만든 ‘수술 실험용 시스템’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많아 실험을 여러 번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다이내믹 심장 시스템을 개발한 기계
항공
우주공학과 그레고리 버크너 교수는“이 시스템은 심장이 동방결절에 의해 스스로 박동하는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험하는 동안 돼지가 죽을까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그렇다고 살아 있는 ... ...
축! 갈릴레이의 생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오늘날 허블 우주 망원경을 비롯한 망원경의 발달에 큰 기초를 세운 사건이었지요. 미국
항공
우주국에서는 갈릴레이의 생일인 2월 15일을 기념해, 허블우주망원경과 스피처우주망원경, 찬드라 X선 관측망원경 등으로 찍은 나선은하 M101의 사진을 공개했어요. 갈릴레이가 살아 있다면 놀랍도록 발전한 ...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 제품보증그룹장, 한국과학재단 우주단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
항공
대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인공위성 설계와 로켓 분야의 전문가다 ... ...
DNA와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에 한걸음 다가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생성된다”고 설명했다.연구단은 나노 바이오 연료전지가 실제로 가능한 지에 대해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공동연구를 했다. 연구단이 구상한 나노 바이오 연료전지는 몸속에서 음식물을 소화할 때 철을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페리틴’ 단백질을 이용했다.포도당의 산화와 산소의 ... ...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지금까지 알려진 아기별 중에서 가장 어두운 아기별을 발견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 스피처 우주망원경으로 지구에서 약 600광년 떨어져 있는 가스 덩어리를 자세히 관측한 결과, 한쪽에서 태양 밝기의 5%에 불과한 밝기로 빛나는 아기별 ‘L328-IRS’을 찾아냈다. 현재의 표준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칼 세이건이 쓴 책 ‘창백한 푸른 점’의 일부다. 실제 창백한 푸른 점은 1990년 2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의 카메라가 60억km 밖에서 포착한 지구의 모습이다. 세이건이 보이저가 보내온 사진을 보고 지구를 햇빛 속에 떠도는 먼지라고 표현했지만, 사실 지구는 우주먼지에서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생각해 본 적이 있어요. 3학년에 이르면서 성적을 고려해 우선 화학공학과에 진학한 뒤
항공
우주공학과로 전과하자는 전략을 짰습니다. 그런데 화학공학과에서 배우는 과목이 결국 로켓과도 관련이 있더군요. 전과는 접어두고 1학년 때부터 활동하던 로켓 동아리 활동에 매진하자는 생각을 했죠.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신비를 밝힐 또 하나의 우주망원경이 델타Ⅱ 로켓에 실려 지구 밖으로 발사됐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서 주도한 이 우주망원경의 이름은 케플러(Kepler). 이 우주망원경의 주요 임무는 지구와 환경이 비슷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외계행성을 찾는 것이다.이 우주망원경에 붙은 이름의 ... ...
[천문우주]포착!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2월 24일, 위성 4개가 나란히 토성 앞을 지나가는 모습이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는 광경을 찍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광경은 허블 광각 행성 카메라 2로 촬영한 12억 5000만km 떨어진 ‘토성 패밀리’의 모습이다.토성은 적도 부근에 원반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소용돌이가 커져 양력을 증가시킨다. 딱정벌레의 비행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건국대 기계
항공
공학부 변도영 교수는 “만일 아래로 향한 날갯짓과 동일한 각도로 위로 날갯짓을 한다면 날개 아래쪽에 전단와류가 생겨 땅으로 향하는 힘이 생길 것”이라고 설명했다.일단 이륙을 하면 앞을 향해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