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세포인
d라이브러리
"
핵인
"(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1. 톱쿼크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1995년 톱쿼크 발견으로 가장 작은 입자의 세계는 완성된 것일까. 아직 숙제가 남아있다면 어떤 것들인지 함께 알아본다.작년 이맘때쯤 미국의 페르미가속기연구소에서 톱쿼크를 발견했다고 공식 발표한 후, 1년이 지난 지금 톱쿼크의 존재를 더 이상 의심하는 과학자는 없다. 쿼크는 무엇일까. 톱쿼 ... ...
햐쿠타케혜성이 남긴 이야기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지난 3-4월 많은 사람들을 흥분시켰던 햐쿠타케를 이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태양 저편으로 사라져가는 햐쿠타케는 무엇을 남겼을까. 그 자취들을 더듬어본다.햐쿠타케는 예상했던 대로 거물급 혜성이었다.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자주 찾는 충북 영동 산중턱에서 바라본 햐쿠타케의 꼬리는 20° ... ...
방황하는 SF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연작만화 '슈퍼맨' 의 인기가 하늘을 치솟고 있던 1939년, 밥 케인에 의해 또 다른 SF만화 '배트맨' 이 탄생했다. 배트맨의 힘과 능력 또한 대단해 때로는 슈퍼맨을 능가할 정도였다. 스스로 발명한 갖가지 기상천외한 장치들을 만능벨트 안에 가고 다니면서 악당들을 쳐부수는 배트맨에게 독자들은 통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지금 저녁 하늘에 혜성이 빛나고 있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햐쿠다케혜성은 4월이 지나면 더 이상 볼 수 없는 아름다운 혜성이다. 초보자에게 혜성 관측의 길잡이가 돼 줄 햐쿠다케혜성에 대해 알아보자. 창밖으로 해가 지고 노을이 깔리면 창문을 열고 하늘을 보자. 북서쪽 하늘에서 실로 20년만 ... ...
체르노빌 10년, 고통받는아이들 신종에이즈 발병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1986년 4월 26일 새벽 1시 23분, 체르노빌 원전 4호기가 폭발했다. 역사상 가장 참혹한 피해를 입힌 원자력 발전소 사고였다. 당시 인근 지역에 살던 주민과 복구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은 60여만명. 이들은 지금 어떤 상황에 놓여 있을까. 2년 전(1994.5.27-6.6) 우크라이나 공화국을 방문한 경험으로 볼 때 이 ... ...
서울 면적의 1.6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우리나라 산지에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경관은 묘지다. 특히 양지 바른 남쪽 산자락에는 어김없이 주검을 안은 조용한 무덤이 자리한다. 그러나 무덤 생태계의 얼개는 아직 한번도 밝혀진 적이 없다. 자신의 가족 이외의 무덤에 접근하는 것은 그리 유쾌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을씨년스런 겨울날 ... ...
2. 서울 15년 내 규모 6.5 지진 가능성 57%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한반도에서 규모가 큰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계속 지적되고 있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서 발생할 확률이 작지 않다.한반도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가. 핵폐기장으로 선정됐던 굴업도가 활성단층 지대임이 밝혀지면서 '한반도의 지진 발생' 은 학계에서 커다란 이슈로 떠올랐다. 이전까지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행성상성운, 크기를 드러낸 최초의 별, 우주 자외선 레이저, 30등급의 은하 등 허블우주망원경이 충격적인 우주의 신비를 보여주고 있다. 새롭게 발견되는 관측자료들이 지금까지의 천문학을 흔들고 있다. 화려하게 빛나는 별진화의 마지막 단계 별들은 각기 다른 빛깔을 띤다. 오리온자리의 베텔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제네바천문대의 M. 메이요와 D. 퀄로즈는 우리 태양과 비슷한 1백42개의 별을 관측해 왔다. 여기에는 오뜨-프로방스천문대의 1.9m 망원경과 천체운동을 12m/초까지 측정할 수 있는 분광기가 사용됐다. 그러던 중 이들은 페가수스자리 51번별 주위를 돌고있는 행성을 찾아냈다.이 행성의 공전주기는 4.229 ... ...
공룡은 암에 걸려 멸종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공룡 절멸에 관한 또 하나의 가설이 더해졌다. 이번에는 암이 그 원인이라는 주장이다.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인 남캐롤라이나 대학의 주안 콜라박사는 "우리은하의 일생을 다한 별이 폭발할 때 방출하는 중성미자가 유행성 암을 촉발, 이로 인해 공룡 뿐만 아니라 여타의 대량 멸종이 발생했다"는 주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