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d라이브러리
"
호
"(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것은 녹둔도가 조선사람의 소금구이 터였던 짠물
호
수 달미(러시아 현지명은 ‘새
호
수’)를 포함하고 있었음을 뜻한다. 소나무가 특산물이었다는 점으로 미뤄 녹둔도 북단은 동쪽으로 활슈위 너머였음을 알 수 있다. 남북 70리라는 기록에서는 녹둔도 북단은 서쪽으로 조선사람이 ‘부자(富者 ... ...
프랑스의 과학향기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기술에 의존했다. 우리별 1
호
는 위성발사체 아리안 V52 로켓에 실려 발사됐고, 우리별 2
호
는 아리안 V59 로켓에 실려 프랑스령 기아나의 쿠루우주과학기지에서 발사됐던 것이다. 아리안 로켓이나 쿠루위성발사기지는 프랑스가 자랑하는 첨단 우주항공기술의 상징이다.항공기 부문에서도 대한항공이나 ... ...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성질에 대응하는 물리량 원자핵에서 질량수는 같고(일반적으로는 조금 다르다), 원자번
호
가 다른 것을 동중원소(isobar)라고 한다 진공관 같은 1방향성 증폭소자도 아이솔레이터와 같은 성질을 가지지만 일반적으로는 이와 같은 것을 제외하고 완전히 수동적인 소자만을 뜻한다 주로 마이크로파에서 ... ...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누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클로디 에뉴레는 1985년 1000명의 지원자와 경쟁해 우주인에 선발된 뒤 1996년 미르
호
를 방문했다. 그는 연구기술부장관까지 올랐으며 2004년 한국을 찾아오기도 했다.각국의 최초 우주인들은 대부분 국가적 영웅이자 세계적 유명인사가 됐다. 한국 최초의 우주인도 이에 못지 않은 명성을 얻을 것으로 ... ...
물이 빚어낸 환선굴 만리장성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빼어난 절경 덕분에 대이리동굴지대는 주위 산림 약 200만평과 함께 천연기념물 제178
호
로 지정됐다.덕항산 중턱 해발 500m에 자리 잡은 환선굴은 한여름에도 동굴입구에서 불어나오는 냉기가 천연 냉장고를 방불케 할 만큼 시원해 여름철 관광지로 이름나있다. 환선굴은 총 길이가 6.2km에 이르는 거대 ... ...
고성에서 날아온 '백악기 공원' 초대장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깃털은 대칭이 아닌데, 중화융조는 대칭을 이루고 있다. 날기 위한 깃털이 아니라 몸을 보
호
하기 위한 깃털로 공기층을 형성해 피부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깃털공룡은 모두 수각류라는 점도 특이하다. 영화 쥬라기공원에서 날렵한 사냥꾼이었던 벨로키랍토르나 ... ...
조선의 기계식 시계 '자격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같습니다.정확히 한 시간이 지나면 파수
호
에서 흘러나온 물이 수수
호
로 들어갑니다. 수수
호
안의 살대가 떠오르면 그 부력이 지렛대와 쇠구슬에 전해집니다. 그로 인해 쇠구슬이 떨어지면서 동판 한 쪽을 치면 동력이 전해져 나무로 만들어진 세 개의 인형이 종과 징, 북을 쳐서 시간을 알립니다.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특수 종이와 무선통신 기술이 결합된 최신의 디지털 펜은 손으로 쓴 데이터를 현장에서 기록하고 e메일을 보낼 수 있는 컴퓨터용 데이터로 바꿔준다. 이것은 용지작성에서 단조로움을 없 ... 가장 중요한 특징의 하나이며 이 상
호
반전 과정을 초래하는 것이 소립자 사이의 상
호
작용이 ... ...
2008년 4월 한국 최초의 우주인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타는 우주인은 이보다 적은 힘을 받는다. 최기혁 항우연 우주인사업단장은 “소유즈
호
를 타고 우주로 가거나 다시 지구로 돌아올 때 가슴 방향으로 자기 몸무게보다 최고 8배, 머리나 발 방향으로 최고 5배 큰 힘이 걸린다”고 말했다.가슴 성형 수술을 한 여성은? 지난 3월 말 영국 일간지 ‘더 ... ...
푸른 대지로 뚫린 통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태양보다 80배 가량 무거울 것이라고 추정한다. ‘Sk-71 51’의 북쪽에서는 기다란
호
를 발견할 수 있는데, 이 별에서 맹렬히 뿜어낸 물질이 주변 기체를 강하게 밀어붙인 모양이다.또 성운에서 열매처럼 보이는 천체의 정체는? 불그레한 빛깔의 열매라면 페르세포네가 먹었다는 석류열매가 아닐까.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