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뉴스
"
둘
"(으)로 총 2,015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그 결과 이 모양 이 꼴이 됐다는 것. 두 사람은 말도 안 되는 억측이라며 부정했지만
둘
사이의 간통은 기정사실화됐다. 충격으로 입원까지 한 사사이 박사는 자신을 향한 부당한 비난을 더 이상 견딜 수 없다는 유서를 남기고 결국 자살을 선택했다. 오늘날의 시각으로도 뻔뻔스럽다고 할 정도로 ... ...
다른 사람 ‘눈치 보는’ 뇌세포 찾아냈다
2015.03.02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셀(Cell) 제공 실험 결과 원숭이들의 선택은 34.7%가 협력이었다.
둘
다 협력을 선택한 경우는 17.1%였다. 특히 상대방이 이전 게임에서 배신을 한 경우 협력을 선택하는 경향은 26%로 크게 낮아진 반면 서로 협력을 선택한 경우 62.1%가 다시 협력을 선택했다. 원숭이들의 뇌 ... ...
스테로이드의 유혹
과학동아
l
2015.03.01
있어 역시 전문 코디네이터의 섬세한 손길이 필요하다. 박태환과 쑨양(사진 왼쪽)은
둘
도 없는 라이벌이자 친구였다. 두 친구는 사이좋게 도핑테스트에 걸렸는데, 그 결과는 사뭇 달라 보인다. - 동아일보 제공 ● 박태환 몰랐어도 책임 피하긴 어려워 이처럼 반도핑 기술이 점점 더 교묘해지고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그렇다면 돌리 파튼과 복제양 돌리, 이
둘
은 무슨 관계일까요? 돌리를 복제할 때 썼던 체세포는 ‘가슴’ 부위의 젖샘세포라고 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기 바랍니다. 감이 오시나요? 그렇습니다. 돌리 파튼은 뛰어난 뮤지션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 ...
개와 늑대의 계산 대결, 그 승자는?
수학동아
l
2015.02.25
식입니다. 이렇게 여러 번 치즈를 넣은 뒤 한 통에만 치즈 하나를 더 넣었습니다. 그리고
둘
중 어느 통에 치즈가 더 많이 들었는지 알아맞히게 했습니다. 답을 맞히면 통 속에 있는 치즈를 먹을 수 있도록 확실한 보상도 해 줬습니다. 그 결과 개보다 늑대가 더 잘 맞혔습니다. 늑대는 치즈 대신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이것은 우주가 국소적 실재성을 갖지 않음을 의미한다. 논리적으로는 국소성과 실재성
둘
중의 하나만 틀려도 된다. 양자세계에서 하나의 입자가 동시에 두개의 구멍을 지날 수 있다. 근데, 이것은 아무것도 아니다. 양자세계에서는 두 입자의 스핀이 전 우주적으로 얽혀있을 수도 있고, 실재하지 ... ...
2년 전 러시아 충돌 운석, 여전히 미스터리
2015.02.17
인터뷰에서 “1999 NC43과 첼랴빈스크 운석우의 궤도와 광물 성분 등을 비교한 결과
둘
사이에 공통점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 천체과학연구소는 애리조나 주 투산에 위치한 비영리 천체물리학 연구소다. 레디 박사는 “운석우 조각이 너무 작고 이들의 궤도도 너무 복잡해 특정한 운석으로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많은 조직일수록 암이 생길 확률도 높다는 말이다. - 사이언스 제공 연구자들은
둘
사이에서 0.804이라는 높은 상관계수를 얻었다. 상관계수가 1이면 두 변수가 100% 비례하는 것이고 0이면 전혀 관계가 없다는 뜻이다. 두 변수 사이가 인과관계라면 상관계수의 제곱이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미치는 ... ...
차세대 반도체, 이렇게 하면 뚝딱
2015.02.11
연구진은 씨앗이 되는 산화몰리브데늄을 특정 위치에 배열한 뒤, 황을 기화시켜 주면서
둘
이 잘 섞이도록 돕는 촉진제를 써서 단일층의 이황화몰리브데늄을 얻는 데 성공했다. 이 단장은 “차세대 반도체 산업을 이끌 핵심 소재를 원하는 위치에 만드는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관련 ... ...
“이거 하나면 간암 전이 막는다”
2015.02.11
실제로 생쥐에게 TM4SF5를 발현하는 세포를 5000개 정도 주사했더니 CD44도 함께 발현됐고
둘
이 결합하면서 암덩어리를 만들었고 여기서 복제돼 나온 암 세포가 혈액 속에서 6주 넘게 살아남아서 다른 장기로 전이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연구진이 TM4SF5를 억제하도록 개발한 약물을 주사했더니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