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성
뉴스
"
둘임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03.26
“거짓말이 없다면 인류는 절망과 지루함으로 죽어버릴 것이다.” - 아나톨 프랑스, ‘꽃피는 삶’ “지나친 정직은 인간사회를 붕괴시킬 수 있다.”- 데이비드 리빙스톤, ‘우리는 왜 거짓말을 하는가’ 동아사이언스 제공 ‘거짓말의 발명(2009)’이란 영화가 있다. 모두가 거짓말을 못하는 사회 ... ...
신생아 ‘조절 T세포’ 효과 첫 입증
2015.03.20
면역세포는 필요에 따라 자기 몸의 세포를 파괴하기도 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외부에서 침입한 세포를 무찔러 우리 몸을 지킨다. 하지만 면역세포가 이 둘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활동하면 몸속 기관이 망가져 류머티스 관절염, 췌장염 등 자가면역질환이 생긴다. 이 때문에 우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단백질이 든 물방울(파란색)과 산성 물방울(붉은색)이 만나 ‘융합 물방울’을 형성한다. 반응이 진행 중인 물방울을 가열된 모세관으로 흡수하면 그 순간 화학반응이 멈춘다. 질량분석법을 통해 화학반응 과정 중의 순간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됐다. - 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 제공 우리 몸 세 ... ...
거대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ESO/L.Calcada 제공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년 전 네덜란드에서 첫 등장한 굴절망원경을 더 높은 배율로 개량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이 망원경을 이용해 지구 밖 천체를 관측했다. 인간이 우주를 보는 새로운 눈을 얻은 순간이었다. 그 후 400년. 망원경은 우주를 좀 더 깊고 넓게 보기 위해 끊 ... ...
한국 아동 ‘공부 스트레스’ 세계 최고
동아일보
l
2015.03.12
[동아일보] 보건사회硏 30개국 비교… 학교생활 만족도는 26위 그쳐 성적 경쟁에 내몰린 한국 아동들이 학업으로 인해 받는 스트레스가 세계 최고이고, 학교생활 만족도는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김미숙 한국보건사회연구위원이 발표한 ‘한국 아동의 주관적 웰빙수준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그와의 만남에 그녀는 수줍어 고개 숙였고… 그의 소심함에 그녀는 떠나가 버렸다 - ‘화양연화’ 왕가위 감독의 2000년 작품 ‘화양연화’는 간통을 소재로 하고 있다. 영화의 배경은 1962년 홍콩. 거실과 주방을 공유하는 공동주택으로 같은 날 이사를 온 차우모완(양조위)과 첸 부인(장만옥)은 동 ... ...
다른 사람 ‘눈치 보는’ 뇌세포 찾아냈다
2015.03.02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볼 때 활동하는 뇌세포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관련 학계에서는 자폐증 같은 사회성 장애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케런 해로시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원은 원숭이에게서 이런 기능을 하는 뇌세포를 발견하고 세계 3대 과학 저널 ‘셀’ 2월 26일 자에 발표했 ... ...
스테로이드의 유혹
과학동아
l
2015.03.01
연합뉴스 제공 마린보이 박태환이 도핑테스트 양성반응이 나왔다. 박태환이 복용한 것으로 알려진 네비도라는 약물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주성분이다(박태환은 약물을 복용할 의도가 없었으며 실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도대체 이 호르몬이 뭐기에 온 국민의 영웅이었던 마린보이를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오늘은 웬만한 ‘사람’보다 훨씬 명성을 떨쳤던 양(羊)에 대해 얘기할까 합니다. 영국 BBC나 미국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 그 외 각종 매체들은 이 양을 거론하면서 늘 ‘the world's most famous sheep’이라고 표현합니다. 우리나라 교과서에도 나오는데요. 역사상 가장 유명한 양이라고 ... ...
개와 늑대의 계산 대결, 그 승자는?
수학동아
l
2015.02.25
pixabay 제공 대표 반려동물인 개와 야생에 사는 늑대 중 어떤 동물이 계산을 더 잘할까요?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연구팀이 개와 늑대의 숫자 인지 능력을 시험한 결과 야생에서 먹이를 잡아먹는 늑대가 더 똑똑하다고 ‘첨단심리학지’ 2014년 12월호에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개와 늑대에게 속이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