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뉴스
"
반도체
"(으)로 총 2,539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반도체
, 10년내 삼성·SK 추월 못해…
반도체
굴기는 과장"
연합뉴스
l
2019.06.16
구축하거나 자급이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전세계
반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비메모리 부문에서 중국의 기술력이 형편없는 수준이라면서 "중국 업체들이 비메모리 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데는 수십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 ...
반도체
나노패턴 빠르고 정확하게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해본 결과 대면적에서 우수한 패턴을 형성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소연 교수는 “
반도체
뿐만 아니라 빛을 전기로 바꾸는 ‘광전소자’나, 금속 내의 자유전자가 집단으로 진동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소자인 ‘플라스모닉 소자’에 응용해 태양전지와 디스플레이 등의 효율을 높일 ... ...
비트코인, 매년 美 라스베이거스 수준 이산화탄소 배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비트코인으로 인한 전력 소비를 우선 계산했다. 비트코인 채굴에는 이에 특화된 주문형
반도체
(ASIC)가 많이 쓰인다는 데 착안한 연구팀은 2018년 채굴용 ASIC 업체 3곳의 기업공개(IPO) 자료를 활용해 비트코인 생산 장비의 규모를 추정했다. 소규모 채굴인지 공장 형식의 채굴장을 운영하는지에 ... ...
일반공정 적용 어려운 유기
반도체
집적회로 구현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발상의 전환이 유기 집적회로로 가기 위한 핵심 기술의 원천이 됐다”며 “향후 다양한
반도체
집적회로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월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자성 메모리에 숨겨진 자기장 상호작용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서강대 교수. 과기정통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로 꼽히는 자성 메모리의 속도와 저장 용량을 높일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냈다. 정명화 서강대 교수 연구팀은 마티아스 클로우이 독일 마인츠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자성물질 사이에 숨겨진 자기적 상호작용을 ... ...
[프리미엄 리포트] 문외한을 위한 시스템
반도체
총정리
과학동아
l
2019.06.08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 연구자들이 새로운 재료, 소자, 설계를 연구하고 있다. 시스템
반도체
는 향후 뉴로모픽
반도체
(Neuromorphic Chips)로 진화할 전망이다. 뉴로모픽
반도체
는 기존의
반도체
구조가 아닌 인간 뇌의 물리적 구조를 모방한
반도체
다.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읽어내 ... ...
바다밑 미지를 스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7년부터 민간 달 탐사 경연대회인 구글 루나 엑스프라이즈를 공동 개최했고 2016년엔 미국
반도체
회사 퀄컴과 SF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첨단 진단장치 개발 실력을 겨루는 트라이코더 엑스프라이즈라는 대회를 공동 개최했다. 다국적 석유화학회사 로열더치셸(셸)과 엑스프라이즈재단이 공동 주최한 ... ...
빌 게이츠, 인공지능
반도체
생산 스마트업에 투자
연합뉴스
l
2019.06.05
최신 텐서 프로세싱 유닛(TPU) 인공지능 칩을 담고 있는 3천장의 회로기판을 대체할
반도체
칩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구글은 AI 연구자들이 많이 쓰는 엔비디아의 그래픽카드에 의존하는 대신 텐서 플로라는 자체 AI 전문칩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다. 루미너스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인 ... ...
한·러 원자력 연료에 적용할 3D프린팅 기술 공동 연구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융합한 베타 전지 협력도 착수했다. 베타 전지는 방사성동위원소에서 방출되는 베타선을
반도체
에 흡수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소형 전지다. 초소형장치나 센서 등의 전력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원자력 안전 현안에 대해서는 방사선 비상대응 훈련을 상호참관하고 규제기관 간에 협력 강화를 ... ...
뇌세포 닮은 저전력 광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주인공 무어가 10~15년 뒤 무어의 법칙이 한계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며 “
반도체
나노공정이 3~5nm 공정에 가면 전자끼리의 간섭으로 발열이 심해진다”고 말했다. 뇌가 작은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하나를 켤 정도의 적은 전력(20W 미만)으로 복잡한 연상과 학습, 기억을 하는 것과 대비된다.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