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66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홍채 보면 건강을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하는 기관이다. 밝은 곳에서는 눈으로 들어오는
빛
의 양을 줄이고, 어두운 곳에서는
빛
의 양을 늘린다. 밝은 곳에서도 눈이 부시지 않고, 비교적 어두운 환경에서도 앞을 볼 수 있다. 홍채진단법을 주장하는 전문가들은 홍채 주변에 각 영역마다 신체의 장기가 하나씩 연결돼 있어 홍채만 봐도 ... ...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작은 공간안에
빛
을 가둔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원리로 동작한다”며 “비선형 물질 대신
빛
을 발생시키는 물질로 구성된 나노실린더 구조를 제작하면 가장 작은 유전체 나노레이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세포 움직임까지 느끼는 3D 촉각 인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이같은 3D 촉각 분포를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연구진은 촉각을 감지하면 스스로
빛
을 내는 화학물질을 3D 촉각 인식장치에 결합했다. 촉각을 시각화한 것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3D 촉각 인식장치는 발걸음 같은 큰 힘부터 세포 움직임 같은 초미세 압력까지 감지할 수 있다. 기존 인식장치에 ... ...
"이미지 더 선명하고 피폭량 확 줄였다 " 신개념 디지털 엑스선 발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탄소나노튜브 끝에서 전자가 발생한다. 전자는 게이트를 통해 마치 렌즈를 통과한
빛
처럼 집중된다. 이 전자가 진공 상태에서 금속과 부딪히면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전기신호를 켜고 끄는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ETRI 제공 과제 책임자인 송윤호 ETRI 소재부품원천연구본부장은 “오랜 기간 ... ...
스스로
빛
내고 알아서 선명하게… 디스플레이가 살아 숨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디스플레이로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제품을 선보였다. 이 디스플레이는 스스로
빛
을 내는 10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이하의 작은 LED 하나하나를 화소로 쓴다. 자체 발광이라 백라이트가 필요없고, 형태나 크기에 제약이 없는 게 특징이다. 수십 인치 크기의 가정용부터 100인치 이상 크기의 ... ...
‘미세먼지 없애는 음악’ 음파 기술로 작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음파에 의해 움직이다 다른 미세먼지와 부딪히며 뭉쳐진다. 동아사이언스DB 연구팀은
빛
대신 파동의 다른 형태인 음파를 활용했다. 20헤르츠(㎐·주파수의 단위)에서 50㎐ 사이의 음파를 활용했다. 사람 귀에 들리는 가청주파수는 약 20㎐~20k㎐ 사이다. 사람에 따라 20㎐까지도 들을 수 있으나 ... ...
'허블우주망원경' 외계행성 찾아줘서 고마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천문학자들은 1998년 허블우주망원경을 통해 거대 별이 죽음을 맞이할 때 엄청난
빛
을 뿜어내는 ‘초신성’ 현상을 관찰하고 ‘우리은하’에서 먼 초신성이 더 빨리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우주가 더 빨리 팽창하고 있다는 증거다. 허블우주망원경은 최근까지도 인류의 태양계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주에서 촬영한 지구 감마선과 자외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2
빛
을 내뿜는다. 표지에서 감마선이 빨강색과 보라색이 약간 섞인 색을 뜻하는 심홍색의
빛
을 뿜어내고 있다. 감마선은 태양 에너지를 흡수한 공기 분자가 이온화돼 자유전자가 밀집된 대기권인 ‘이온층’에 ‘엘브(ELVE)’라는 고리 형태의 자외선을 만든다. 표지에서는 하얗고 빨간색을 가진 ... ...
화성의 물, 계절이 바뀔수록 예상보다 빠르게 말라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0
10~100배 많은 수증기로 과포화된 것이다. 화성의 수증기는 극관의 얼음이 태양
빛
을 받아 만들어진다. 지구라면 수증기가 대기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떨어지면서 먼지 등과 결합해 응축돼 구름으로 대기 상에 남는다. 하지만 화성은 지구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은 채 수증기가 지구의 40%에 ... ...
어른과 아기 함께 놀때 '뇌 연결고리'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0
모자를 씌우고 뇌의 각 부분에서 흐르는 혈액에 산소가 얼마나 풍부하게 들어 있는지
빛
의 반사를 이용해 관측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성인과 아기의 뇌에서 57개 영역을 서로 비교했다. 그 결과 성인끼리 유대감을 형성할 때처럼 '신경 동조화 현상'이 일어났다. 신경 동조화 현상은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