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다음"(으)로 총 2,1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연구실 이름에 얽힌 내용을 설명하던 조윤경 그룹리더는 큰 틀에서 자신의 연구 테마를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지금은 진단, 암 관련 연구를 하고 있지만, 결국 유체 현상의 이해가 가장 큰 주제입니다. 화학반응뿐 아니라 세포와 세포의 상호작용(interaction), 세포와 주변 환경의 상호작용 등 관심이 ... ...
- 암 전이에 핵심 역할하는 줄기세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2017.04.02
-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장 피부 밑에 있는 종양에 DT 치료를 해 Lgr5+ 줄기세포를 죽인 다음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관찰했다. 종양 전체크기엔 큰 변화가 없었고 DT 치료를 멈추자 종양이 다시 자랐다. 장에 있는 다른 세포가 Lgr5+ 줄기세포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그런데 Lgr5+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화해하듯 자신을 용서하고 화해하기. 스스로를 용서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1.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지 못함. 2. 스스로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기준(예 완벽주의)을 가지고 있음 3. 다른 사람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함. ‘안 좋은 사람’으로 평가받을 것에 대한 ...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2017.03.25
- 또 그 다음주를 함께 비교했을 때, 한 시간 정도 잠이 모자랐던 월요일에서만 전주 및 다음 주와 비교해서 형량이 긴 경향이 나타났다. 화, 수, 목, 금요일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실 ‘실험’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이 모자란 잠에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여전히 한 시간 정도 잠을 ...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2017.03.12
- 주변 사람들에게 꽤 영향력이 있고 힘이 있는 사람인지에 대해 묻고(평소의 권력감), 그 다음 자신이 ‘리더’가 되었던 경험 등을 떠올리게 해 권력감을 급 높였다. 통제 집단의 사람들에게는 얼마 전 마트에 갔던 경험을 떠올려보라며 권력과 상관 없는 처치를 했다. 그리고 나서 한 매력적인 ... ...
- 가난한 사람을 보면 사람들은 어떻게 변할까?2017.03.05
- 연구자 멜리사 샌즈 (Melissa Sands)는 비교적 부유한 환경인 미국 보스턴의 한 번화가에서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소위 부자증세(연소득 백만달러 이상인 사람들에게 세금을 인상)를 위한 서명을 해달라고 하거나, 가난과 상관 없는 다른 이슈인 비닐봉지 사용을 줄이자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뿐 아니라 이를 응용해 좀 더 쉬운 길을 찾기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사이언스 제공 다음으로 뒤영벌의 학습능력과 사고의 유연성을 알아보는 실험에 들어갔다. 원형 바닥에는 공이 세 개 있는데 중심에서 거리가 각각 다르다. 첫 번째 그룹은 뒤영벌이 가장 멀리 있는 공을 가운데로 옮기면 ... ...
- [사이언스] 다음 선거에서 누가 이길까? 위키는 알고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5
- 맞춘 확률이 80~90%로 높게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연구진은 현직에 있는 사람이 다음 선거에 나온다면 재선 확률이 높지만, 현직자가 출마하지 않을 경우 해당 정당에 유리하게 작용하지 않는다는 경향을 발견했다. 또 미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후보자일수록 당선 확률이 높다는 경향도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2017.01.31
- 단위로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집단적 나르시시즘을 보이는 사람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Golec de Zavala et al., 2013a). √ 자신이 속한 그룹에 대해 과장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음(우리 집단은 다른 집단들에 비해 위대하다) √ 외부로부터의 인정을 중시(기타 집단들은 우리 집단의 위대함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2017.01.23
- 이런 맥락에서 ‘인간’이란 단어를 ‘사람’보다 잘 안 쓰이기 때문에 정보가 더 많다. 다음으로 ‘사람이 개에 물렸다’ 역시 ‘개가 사람을 문다’와 같은 뜻이지만 수동태이기 때문에 문법상 좀 더 정보가 많다. 최근 연구결과 말을 빨리할수록 담고 있는 정보의 밀도가 떨어진다는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