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카톨릭
천주교
캐톨릭
캐돌릭
구교
카톨릭교
성당
d라이브러리
"
가톨릭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손에 땀을 쥐는 이유
과학동아
l
199007
무더운 여름 땀을 줄줄 흘리는 것은 체온을 조절하기 위한 자율적인 기능. 그러나 더울 때만 땀이 나는 것은 아니다.땀을 많이 흘리는 계절이다. 무더운 여름과 땀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지만 반드시 더울 때만 땀이 나는 것은 아니다. 정신적으로 긴장하거나 흥분됐을 때도 땀이 난다. 또한 이러한 ... ...
로마
과학동아
l
199005
금년에 월드컵대회가 개최되는 로마는 역사 예술 종교의 도시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로마는 하루 아침에 이뤄지지 않았다」는 말이 왜 생겨났을까?유럽의 정원(庭園, il giardino dell'Europa)이라고 자타가 공인하는 이탈리아의 수도 로마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퍽 친근한 곳이다. 서양의 ... ...
만성간질환의 위험신호 C형간염
과학동아
l
199002
간염의 75~95%, 산발적 간염의 20~40%가 C형 간염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83년
가톨릭
의대 내과팀의 보고에 따르면 수혈후 간염의 79%가 C형 간염이었다. 또 지난 해 서울 의대 내과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급성간염의 35.4%가 C형 간염이었다.이 C형 간염의 전파경로는 수혈이나 혈액제제의 ... ...
10대 흡연이 미치는 영향
과학동아
l
199002
않더라도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중요시 하지 않을 수 없다.
가톨릭
의대 맹광호교수는 "질병역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19세 이하에서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경우는 25세 이상에서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사람보다 폐암 발생률이 3배나 높고 담배를 전혀 안피우는 사람보다는 10배 ... ...
바이오에틱스, 마침내 수면 위로
과학동아
l
199001
이용한 치료는 사회가 공유한 생과 사의 개념에도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했다.지난 69년
가톨릭
의대 이용각 교수(외과)팀이 처음으로 신장이식 수술을 성공시킨 이래 지금까지 1천여명 가까이 이같은 수술을 받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산하고 있다.현재 국내의 신장이식수술 성공률은 신장이 1년간 ... ...
무더위와 피부관리
과학동아
l
198908
화장품 옻나무 머리염색약 니켈 크롬 고무화합물 등이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킨다.어느덧 후덥지근하면서 땀이 나는 계절이 성큼 다가왔다. 우리나라 여름철은 유난히도 뙤약볕이 쨍쨍 내리면서 습도가 높다. 그러므로 햇볕 땀 습도 등으로 인해 피부가 손상을 많이 받게 된다.여름철에 흔히 생길 ... ...
알칼리성 이온음료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08
잘못된 인식과 소비심리를 이용, 이에 호소하는 상업적 논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가톨릭
의대 김명석 교수(생리학)에 따르면 “식품이나 음료수 등 인위적인 방법으로 혈액의 산소를 바꾼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혈액 임파액 조직액 등 체액에는‘완충작용’이 있어 외부에서 산이나 알칼리성분이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05
거리를 지나간다. 동호이는 베트남전쟁이 끝났을 때 깨어진 벽돌과 콘크리트더미 사이에
가톨릭
성당의 정문만이 남아 있었던 곳이다.21년동안 '17도선'이라고 불렀던 경계선 벤하이강을 건너면 소위 남쪽 베트남이다. 쾅트리성채는 완전히 파괴되어 지금도 가끔 불발탄 희생자가 생긴다 한다. 이곳을 ... ...
왜 아픈가?
과학동아
l
198905
엔돌핀의 발견은 통증의 연구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아무튼 '이상구신드롬'이 한반도를 떠들썩하게 하고 있다. 소위 '이상구론'의 요체는 엔돌핀과 T림프구로 압축되는데 특히 '사랑의 호르몬'으로도 불리우는 엔돌핀은 대중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 엔돌핀이 통증과 깊은 관련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04
나는 좌장으로 주도권을 잡고 회의를 진행하였는데 우리나라 대표로는 전염병전문가인
가톨릭
의대 전종휘교수도 있었다.그러나 병의 이름을 통일한다는 것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여러 이름들을 놓고 20여명의 학자들이 하루종일 거론한 결과, 세계 각국의 모든 학자들이 부담없이 사용할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