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4,385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지하 도시는 가장 가까운 미래 도시라고 할 수 있어요. 이미 세계 곳곳에서는 지하를 개발해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거든요. 역사 곳곳, 세계 곳곳 지하 도시사실 지하 도시는 아주 오래 전부터 있던 도시 형태예요. 세계의 지하 도시 유적은 현재까지 확인된 것만 40여 ... ...
-
-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과학동아 l201705
- 나노 크기 장미가 폈다. 최근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박기수 건국대 생물공학과 교수, 김문일 가천대 바이오나노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DNA 복합체로 꽃 모양을 합성한 것이다. 이전에도 단백질에 유기질과 무기질을 더한 복합체로 나노 단위의 꽃 모양 입자를 만드는 연구가 있었다. ... ...
-
- [과학뉴스] 신발끈을 푸는 보이지 않는 손의 비밀과학동아 l201705
- UC버클리대 기계공학과 올리버 오레일리 교수팀이 신발끈이 스스로 풀리는 구체적인 과정을 밝히고 그 결과를 ‘영국왕립학회보A’ 4월 11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우선 신발끈을 묶고 트래드밀 위에서 뛰는 모습을 초당 900장을 찍는 고속카메라로 촬영한 뒤 느리게 재생하면서 분석했다. 그 결과, ... ...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05
- 더욱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더 읽을거리 미국 텍사스대 컴퓨터과학및공학과 쳉카이 리 교수 홈페이지(ranger.uta.edu/~cli)권세정 외, ‘다양한 시간대에서 루머 탐지’(doi:10.1371/journal.pone.0168344)권세정 외, ‘빅데이터 기반 루머의 특성 및 분류’(정보처리학회지 제21권 제3호 ... ...
-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과학동아 l201705
-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5년 전 큰 화제가 됐었죠. 또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생명공학 분야의 가장 큰 프로젝트라 불리는 ‘국제 암유전체컨소시엄(ICGC)’에서도 CRG가 허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여성 과학자들을 위한 ‘Women in Science’CRG의 연구원은 400명 정도 됩니다. 재밌게도 스페인 ...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05
- 태어나지 않은 2030년생의 기대수명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광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연구단 선임연구원은 “수명은 후천적 영향을 많이 받아 시시때때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통계적 방식보다는 메틸화 분석법이 훨씬 정확하게 기대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며 ...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05
- 약물은 전무한 실정이다. 연구자의 한 명으로서 분발을 다짐해 본다.*이광표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연구단 선임연구원으로 7년째 근무 중이다. 현재 혈액 속 miRNA가 근육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 더 읽을거리1) doi:10.1101/gad.263574.1152) doi:10.1016/j.cell.2008.06.0513)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했어요. 이런 이유로 사람들은 미래 도시를 꿈꾸기 시작했어요. 지난 2015년 영국 왕립공학아카데미의 리스 모건 박사는 유명 건축가, 교수, 도시계획가 등 4명의 전문가와 함께 ‘100년 후 도시’ 풍경 10가지를 예상해 내놓았지요.그중 첫 번째는 ‘지하 다층 건물’이에요. 미래에는 땅속을 더 깊고 ...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지구를 벗어나 우주에는 도시를 만들 수 없을까요? 산소도, 중력도 없는 우주에선 오롯이 사람이 모든 걸 만들어야 한답니다. 또 하나의 지구를 거대한 우주선 안에 담는 방법! ‘우주 정착선’을 만나 보아요~!★특명 1 위치를 고정하라!1969년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제라드 오닐 박사는 새로운 아이 ...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05
- 결과 ‘메이에 웨이블릿’을 만들어 웨이블릿 변환 이론을 정립하고 물리, 화학, 생명, 공학, 영상 등 아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웨이블릿을 최초로 제안한 것은 아니지만, 메이에 교수가 ‘웨이블릿의 아버지’라 불리는 이유다.메이에 교수의 이론은 합금의 구조를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