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링"(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 패스파인더의 화성탐사 상상도과학동아 l199611
- 등에도 이용된다선박의 계류(繫留)나 항해·어업 등에 이용되는 수면상의 부체(浮體) 무어링 부이, 라이트 부이(燈浮標), 라디오 부이 등이 있다1년 동안에 같은 경지에서 세 가지 농작물을 순차적으로 재배하는 일 기후가 온난한 남부지방에서 가능하나 지력보존을 위한 대책이 병행되어야 하며, ... ...
- 유리병 vs PET병 어느 것이 환경친화적인가과학동아 l199608
- 이와 유사한 라벨링(labelling) 제도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그러나 대부분의 라벨링 제도가 그러하듯 한두가지 기준을 적용해 그 기준에 적합한 경우, 라벨의 부착을 허용하고 사용을 장려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예를 들면 재생지를 사용한 종이제품이나 석면을 사용하지 않은 자동차 ... ...
- 왜 양약과 한약으로 나눠졌을까과학동아 l199608
- 여긴다.서양에서도 맛과 약효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영국의 유명한 의사 위더링은 1785년 디기탈리스의 수종(水腫)치료 효과를 발표한 책에 “식물의 형태, 색깔, 맛, 냄새는 그 식물로 치료할 병에 대한 효과와 전혀 관련이 없다”고 적었다. 의약사에서는 이것을 ‘특징주의의 완전한 ... ...
- 2. 반입자와 반물질과학동아 l199606
- 3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하드론충돌가속기(LHC)는 양성자를 7조eV까지 가속시킬 수 있으며, 링의 반지름만 해도 4km에 달한다.가속기에 사용하는 전자, 양성자, 그리고 반입자들은 어떻게 얻어내는 것일까 궁금할 수 있다. 그러나 원리는 간단하다. 전자는 금속을 가열하면 방출된다. 이러한 원리를 ... ...
- 허블우주망원경 6주년 생일파티과학동아 l199606
- 허블우주망원경(HST)이 발사된지 6년이 지났다. 그동안 STScI(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에서 발표된 자료는 국내에서도 굵직한 뉴스들을 제치고 신문 1면을 화려하게 장식하곤 했 ... 돌면서 찍은 토성과 위성의 모습이다. 토성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C링, 카시니 틈, F링의 모습이 확인된다 .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과학동아 l199604
- 상이 선명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가짖고 있다. 아이피스를 보고 렌즈에 부착된 초점 조절링을 조작하면 상이 선명해질 때가 있는데, 이 때가 바로 필름 상에 초점이 정확히 맞을 때다.자동초점 기능을 가지고 있는 AF(AutoFocus)카메라는 적외선 빔을 쏘아 사물에서 반사되는 빛을 감지해 거리를 ... ...
- 국내 방사광가속기 24억 전자볼트 성공과학동아 l199603
- 성공했다. 길이 1백50m의 선형가속기에서 전자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켜 저장링에 넣으면, 높은 에너지를 갖는 전자가 회전하면서 접선 방향으로 강한 방사광(synchrotron radiation)을 만든다.이 방사광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고 집속력이 뛰어나 미세 물체에 쪼이면 아무리 작은 물체라도 모습을 ... ...
-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과학동아 l199602
- : ISO 10646 통과.유니코드 컨소시엄의 구성정회원(1996년 1월 현재)AT&TGIS, 애플 DEC에코로지컬 링귀스틱스(Ecological Linguistics) 휴렛팩커드 IBM 저스트시스템스(Justsystems) 로터스 마이크로소프트 넥스트 노벨 리서치라이브러리그룹(Research Libraries Group) 실리콘그래픽스 사이베 ...
- 겨울철 실내 스포츠의 꽃 농구과학동아 l199601
- 선수들은 점프로 상승하는 도중에 슛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공이 지름 45cm 크기의 링 안에 들어갈 확률은 슛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황과 선수 개개인의 능력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통계적으로 보아 자유투에서는 대개 72-73%, 2점슛은 50-51%의 성공률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6.25m 바깥에서 ... ...
- 토성의 새 위성 4형제과학동아 l199509
- 황도면 통과 현상을 포착한 것(과학동아 95년 7월호 참조).새로 발견된 S/1995 S3은 토성의 F링 바로 바깥 궤도를 돌고 있으며 크기는 약 27㎞ 정도로 매우 작고 어둡다. 이 사진에는 희미한 두 개의 위성이 보이는데 이 가운데 어두운 것이 S/1995 S3이다. 그 왼쪽에 밝게 보이는 위성은 에피메테우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