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38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05
높이인 14.5m의 거대한 위용을 자랑한다. 큰 덩치에서 강력한 전자빔을 물체에 투과시켜
반도체
나 세포 속의 원자 구조까지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다.]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공 모양의 물체에 전통 가옥에서 보던 육각형 문양이 새겨져 있다. 파란 이파리 사이로 노란 꽃이 예쁘게 피어있다. ... ...
상아탑서 잠자는 기술, 돈버는 기술로 깨운다
과학동아
l
201204
수 있는 제조 장비 개발도 중요해졌다. LED 제조 공정에서 꼭 필요한 것은 ‘웨이퍼’다.
반도체
재료로 만든 얇은 원판인 웨이퍼를 크게 만들면 생산성이 좋아지지만 LED 성능이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 약 4년 전 GIST 연구진은 LED 수요가 늘어날 것을 예측하며 사파이어 소재의 웨이퍼 기판을 크게 하는 ... ...
실패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과학동아
l
201204
‘나노레터스’에 논문을 실었다. 필자는 지금 삼성전자 생산기술연구소에서 차세대
반도체
장비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한다. 대학원 때 하던 연구와 같은 분야는 아니다. 그러나 연구하는 데 필요한 체계적 사고와 기초지식은 지금도 큰 도움이 된다. 대학원 시절이 소중한 순간이었다는 생각을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04
촉매 금속(염전으로 비유하면 물)을 제거하면 다이아몬드 결정이 만들어진다.GE는
반도체
적 성질, 최고의 경도, 최고의 광투과성을 자랑하는 다이아몬드가 전략 물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곧 특허를 출원하고 독점했다.GE가 만든 인공 다이아몬드는 전세계 천연 다이아몬드 유통의 70~80%를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03
안 쓰다 보면 연결이 약해지기도 한다. 우리 뇌가 학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금속이나
반도체
로 인공 뇌를 만들면 회로를 마음대로 바꿀 수 없어서 이런 기능을 흉내 낼 수 없다.IBM은 어떤 방법으로 이를 구현했는지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IBM의 발표 직후 영국 BBC는 리차드 쿠퍼 런던대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03
대답하려면 근본적 질문에 먼저 대답해야 한다. 우리는 마음의 정신 작용을 신경계나
반도체
칩과 같은 물질의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마음을 물질로 설명할 수 있을까?현재 우리는 정신 작용이 모두 뇌의 물질 작용에 의해 이뤄진다고 인정한다. 그럼에도 세계적으로 저명한 철학자들은 물론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03
개발하는 데 활용하기 시작했다. 무중력상태에서 박테리아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반도체
신소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등을 실험했다.[지난 2월 초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지역 큐브샛 발사 프로젝트 ‘QB50’ 사업 설명회에는 수백명의 큐브샛 전문가들이 모여 뜨거운 관심을 나타냈다.]일반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3
때 시작한 랩온어칩 분야이고 나머지 절반은 생체모방기술이다. 랩온어칩(lab on a chip)은
반도체
기술을 이용해 손톱만 한 칩 안에 구현한 실험장치다. 서 교수팀은 지난 수년 동안 나노패턴 위에서 심장세포를 배양해 마치 심장처럼 동조해 뛰게 만드는 데 성공했고(2009년) 다공성 물질 위에 ... ...
성공도 실패도 모두 노력의 흔적
과학동아
l
201203
“여러 나라에서 온 친구들끼리 모이면 자기나라 자랑을 했어요. 저는 우리나라의
반도체
기술, 조선 기술에 대해서 자랑을 했죠. 그런데 결국 마지막에는 ‘너희 나라는 분단국가 아니냐, 미국의 보호를 받지 않냐’는 말을 들었죠. 국력을 키워야겠다는 생각이 강해졌어요.”경제·문화적으로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03
뇌보다 뛰어날지도 모른다.
반도체
소자는 뉴런보다 처리 속도가 100만 배 이상 빠르다.
반도체
로 생각할 수 있는 인공 뇌를 만든다면 뇌보다 100만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생각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만큼 지식을 쌓는 속도도 빠르다. 사람이 평생 걸려도 다 못 배우는 양을 순식간에 해치울 수 있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