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전
옥편
딕셔너리
역사책
사적
도서 관원
d라이브러리
"
사서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
과학동아
l
199203
"이번에는 기차대신 바다로 눈을 돌렸다. 완도에 실험실 역할을 하는 양식장을 조금
사서
는 자신이 개발한 새로운 양식기구로 김 기르는 일을 시작한 것이다. 당시 우리나라의 김은 국내는 물론이고 일본에서 특히 인기가 높아 어디서 질좋은 김이 나온다는 소문만 퍼지면 일본수산업자들이 ... ...
「서류없는 사무실」 EDI 확산
과학동아
l
199111
필수적인 사무기기로 운용하면서 컴퓨터와 컴퓨터를 모뎀으로 연결, 상대방의 전자
사서
함에 메시지를 보내는 전자메일을 일반적인 통신수단으로 쓰고 있다.그러나 기업들은 이에 만족치않고 어떻게하면 남들보다 빠르게 거래를 처리할 것인가를 집중적으로 고민하기 시작했으며 더욱 신속한 ... ...
2. 영화「워게임」이 실제 상황으로
과학동아
l
199108
기능을 마비시키겠다는 경고가 실렸다. 이 경고문에는 '데이콤의 서비스가 미흡하고
사서
함 이용자들의 장난편지에 분노를 느껴 호스트컴퓨터의 데이터파일을 파괴하겠다'고 적혀있었다. 다행히 이 경고는 실행되지 않고 해프닝으로 끝났으나 데이콤은 컴퓨터 단말기의 비밀번호를 모두 바꾸고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07
사진만 골라서 인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이런 장점을 높이
사서
기꺼이 비싼 값을 치르기도 하는데 그들은 나중에 필름처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요즘 마구 찍은 필름을 맡긴 뒤 1만원이나 2만원을 지불하고 한뭉치씩 사진을 찾아 오기는 하지만 그중에서 오래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06
서비스를 이용하던 사람들이 모여 89년 5월 '엠팔'이란 BBS를 만들었다. 엠팔(EMPAL)은 '전자
사서
함으로 맺어진 친구'(Electronic Mail PAL)란 뜻이다. 일설에 따르면 바이트전자가 88년 3월에 개설한 '바이트네트'가 국내 최초의 BBS라고 한다. 바이트네트는 그후 '네트워크 서울'로 이름을 바꿔 운영되다가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04
소장본이 아니었던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대동지지에서 김정호가 인용한 65종의
사서
는 아마도 그의 지기였던 최한기나 최성환에게서 빌려온 책들이었을 것이다.사실 그의 신분을 엿보게 하는 자료도 거의 없는 형편이다. 단지 몇가지 문헌을 통해 유추해 볼 도리밖에 없다. 김정호가 ... ...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01
국내 대기업들이 대부분 비싼 돈을 들여 해외데이터베이스(DB)에 망을 연결해 정보를
사서
보고있다는 점이다. 심지어는 국내시장정보도 해외 DB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자료기지」에서 유래정보화사회를 지향하는 요즘 '정보가 돈이다'라는 말을 한번쯤 실감나게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08
이
사서
함을 이용하는 많은 이용자들을 긴장시킨 일이 발생했다. DACOM의 미흡한 서비스와
사서
함 이용자들의 장난기에 대한 분노가 그 이유라고 밝힌 '바이러스 서울 연합'이라는 이름의 단체에 의해 비롯된 이 사건은 그후 몇 차례의 경고가 더 있었지만 다행스럽게 행동으로는 나타나지 않은 ... ...
「기술대국」 일본을 추월하려면 컴퓨터문맹 퇴치가 시발점
과학동아
l
199007
고가의 제품이었기에 부자나라인 미국에서도 힘센 정부기관(재무부 국방부 등)만이
사서
쓸수 있는 정도였다. 그러나 미국의 국력신장과 함께 급격하게 팽창한 통신수요는 미국의 통신회사를 값비싼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잉여가치를 창출할수 있는 예외적인 위치에 서게 했으며 이것은 동시에 ... ...
「특허의 상품화」 장애물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05
있느냐는 시장성을 중요시 하기 때문에 로열티를 주고 이미 시장시험을 거친 외국제품을
사서
쓰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의 대발명품에 우리나라 기업들이 쉽게 덤비지 않고 신중을 기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대기업들이 개인발명가들의 발명품을 악용하는 사례도 간혹 있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