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비스"(으)로 총 1,2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의 선택, 통계로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312
- “선택한다는 게 뭐지?”어린왕자가 여우에게 물었어요.“선택은 여러 가지 길 중에 하나를 고르는 거야.”“하지만 어떤 길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는걸.”“어디로 가야할지 모를 때 높은 곳에 올라가 길을 살펴보잖아. 인생의 길에선 통계가 이런 역할을 해. 이참에 통계를 공부해 보는 건 어때?”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11
- 주고받으며 앞서거니 뒤서거니 노벨상을 받는 모습은 부럽기만 하다. 세포의 특급 택배 서비스이제 세 사람의 연구를 살펴보자. 간단히 말하면 이들은 세포 안에서 필요한 물질을 작은 주머니(운반소낭, vesicle)에 담아 필요한 곳에 보내는 데 필요한 생명현상을 연구했다. 세포 안에서 활동하는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11
- 비행기의 판로 확보가 문제다. 또 비행기란 세계를 날아다니는 물건이다 보니 국가별로 서비스 망을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 결국 초창기 사업은 외국과의 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 단장은 과학자가 되고 싶은 젊은이들에게 “무엇보다 호기심을 가지라”고 조언했다. 또 이런 호기심이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조범동 VM 대표)과학동아 l201311
- 기술을 모아서 상용화시키는 사업가라는 게 조 대표의 평가다. 세계적인 인터넷 결제서비스인 페이팔의 공동창업자이자 현재 급부상하고 있는 전기자동차 회사인 테슬라 모터스, 민간 우주항공기업인 스페이스X를 설립한 인물이다. 영화 의 주인공 토니 스타크의 모델이기도 하다.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 (정진원 삼성SDS EMS팀 기획파트장)과학동아 l201311
- 하고 싶어서였다. “몇 년 전 한 외국계 리서치 회사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텔레콤서비스 2020’이라는 제목이었습니다. 이 강의를 듣고 현재의 회사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통신회사들끼리는 가입자를 하나라도 더 모으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을 벌인다. 그런데 외국계 리서치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11
- 수학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살려서 회원들에게 각자가 좋아할 만한 영화를 추천해 주는 서비스를 만들었어요. 실제 이 아이디어로 사업을 벌인 결과는 말 그대로 ‘대박’이었답니다. 이렇게 만든 ‘넷플릭스’는 지금 2억 명이 넘는 회원들에게 DVD를 대여하고, 온라인 방송을 하는 큰 회사가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11
- 직책을 담당해왔다. 그중 지난 3년간은 하나은행의 계열사 하나아이앤에스에서 그룹 IT 서비스 업무를 총괄 담당하며, 은행을 벗어나 경영 관련 업무까지 안목을 넓혔다. 이런 노력 덕분일까. 그는 올해 1월, 경영진과 IT 담당자들의 소통을 담당하는 하나은행 최고정보책임자(CIO)(최고정보보호책임자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11
- 남는다고 말했다. 서비스 준비과정에서 발견된 문제들에 대한 해결 방법은 앞으로 LTE-A 서비스를 하는 다른 나라에도 적용된다. 그는 “우리가 개발한 기술이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었다는 것이 엔지니어로서 기쁘다”고 말했다. 영어는 수단일 뿐, 공학 지식이 더 중요해 “영어는 일을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11
- 쓰는 해독정보서비스를 융합시키는 것이다. 이는 하드웨어도 팔고 프로그램도 팔고 서비스도 파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걱정과 불안은 인생에 절대 도움 안돼 많은 실패와 성공을 거듭한 박 소장은 젊은층에게 걱정하지 말고 불안해하지도 말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박 소장은 “시험에서 꼴찌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11
- 컴퓨터 지식과 미생물 생명정보학 지식을 결합해 미생물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생물의 유전체 따위 몰라도 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미생물은 우리 주위를 '점령'하고 있다. 만약 어떤 기업이 태블릿 PC를 내놓으면서 항균(세균, 특히 인체에 해로운 세균을 제어하는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