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12
하지만 그 동안 많은 부분이 현실이 됐습니다. 다가올 30년 역시 마찬가지일 겁니다. 긴
시야
를 갖고 도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황 교수는 고등학생인 둘째 아들이 아버지의 연구에 관심을 보이기에 ‘도전해 보라’고 권했다는 말을 덧붙였다. 이 분야에 대한 애정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10
수밖에 없는 법. 초록뱀은 머리와 몸을 살살 흔들어 풀잎처럼 보이도록 연기해 천적의
시야
에서 벗어난다. 물론 지렁이와 작은 곤충, 애벌레 같은 먹잇감에게 다가갈 때도풀을 닮은 외모 덕을 톡톡히 본다.진화론에 한 획을 그은 후추나방잔뜩 벗겨져 검은 속이 드러난 하얀 나무껍질, 자세히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09
만들어지지 않고 아주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게 움직이는 유기체”라면서 “크고 넓은
시야
로 최소 20년 이상의 장기 목표를 세우고 이를 매년 수정하면서 방향을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어 “도시는 규모가 커질수록 정체성이 희미해지기 쉽다”면서 “문화와 역사 등 ... ...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어린이가 있다는 것을 모른 채 차를 움직일 수 있다. ‘어린이’니까!어린이는 어른보다
시야
가 좁다. 어른은 150°를 볼 수 있지만 어린이는 90°를 벗어난 쪽을 보려면 고개를 돌려야 한다. 그래서 횡단보도에 서 있을 때 주변을 살피는 데 불리하다. 또한 어린이는 시청각 정보에 반응하는 운동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08
돌 때 자동차의 측면과 사각지대를 밝혀 운전자의
시야
를 확보해준다. 야간운전 시
시야
를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운전자들의 고충에 귀를 기울인 디자인이다.옥소(Oxo)의 굿그립디자이너 출신인 샘 파버는 아내가 손목 관절염 때문에 더 이상 부엌에서 주방기구를 다룰 수 없어 낙담하는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08
보고 리모콘으로 조종하는 기계다. 조종 중에 잠시 딴눈을 팔다 헬리콥터나 비행기가
시야
에서 사라져 버려 비싼 장비를 잃어버린 사람이 부지기수일 정도다. 하지만 통돌이는 다르다. 통신만 유지되면 지구 반대편에 있어도 조종이 가능하다. GPS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데다 무선 송수신 장비를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08
(포뮬러 원) 머신의 최고 속력은 시속 360km에 이른다. 시속 200km만 돼도 드라이버의
시야
가 흐려지는데, 시속 360km이면 머신에 날개가 있을 경우 이륙할 수도 있다.머신을 초고속으로 달리게 하는 힘은 ‘자동차의 심장’인 엔진에서 나온다. F1 머신의 엔진은 8기통 2.4L를 사용하도록 규정돼 있다. ... ...
GIST의 세계적인 연구 환경 속으로
과학동아
l
201008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심화된 광학 수업에서 지식을 쌓고, 수시로 열리는 세미나를 통해
시야
를 넓혀야 한다. GIST의 전공 수업은 모두 영어로 하고 있고, 외국인 재학생이 많이 있어서 영어 능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아직은 석사 3기를 지나며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 ...
20세기 수학의 방향을 제시하다
수학동아
l
201008
또 연구자는 문제를 푸는 것으로 강한 힘과 새로운 방법과 발전가능성, 자유로운
시야
를 얻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제시된 문제 중 하나라도 해결하면 20세기의 수학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문제를 제시하는 이유를 밝혔대. 힐베르트는 강연 때 시간이 허용하는 대로 열 가지 문제만 ... ...
PART 1 모양의 비밀을 밝혀 줘~!
수학동아
l
201007
개나 된다. 잠자리의 겹눈은 꿀벌의 집과 마찬가지로 공간을 빈틈없이 메울 수 있으면서
시야
를 가장 넓게 확보하기 위해 육각형 모양의 낱눈으로 이뤄졌다.길가에 앉아 있는 잠자리를 뒤로 다가가 잡으려 해도 잠자리는 어떻게 봤는지 재빨리 도망가곤 한다. 이것은 잠자리의 겹눈구조 때문인데,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