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전
d라이브러리
"
원자력발전소
"(으)로 총 395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09
것은 수소생산로와 액체금속고속로 2가지다.수소에너지 만드는 수소생산로 그동안
원자력발전소
의 목적은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었다. 차세대원자로의 하나인 수소생산로는 여기서 더 욕심을 부린다. 전기 뿐만 아니라 에너지원 자체를 원자로에서 얻겠다는 것. 미래에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로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07
경상도 동해안에 위치한
원자력발전소
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원래
원자력발전소
는 활성단층이 없는 안정한 지각 위에 지어져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오히려 단층들이 모인 지역에 세워졌기 때문. 이에 대해 원전 관리 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는 “리히터 규모 6.5의 지진이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05
가지 합성 등 많은 예가 있다 경상남도 양산군(梁山郡) 장안면(長安面) 고리(古里)에 있는
원자력발전소
1971년 11월에 착공하여 77년 6월에 초임계(初臨界 ; 원자로의 점화)에 도달하고 각종 시험을 거쳐 78년 4월부터 본격적인 상업가동(商業稼動)에 들어갔다 구조식안에 고리모양의 원자 배열을 가진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04
(white dwarf)이라 부르는데서 착안한 명칭이다핵연료이자 핵무기에 쓰이는 방사성 원소
원자력발전소
에서 사용한 폐핵연료봉을 잘라 질산에 녹인 다음, 플루토늄 흡착 기능을 가진 특수 유기용매인 인산트리프틸(TBP)에 넣어 플루토늄을 분리시킨다 이를 다시 정제해 순수한 플루토늄을 ... ...
미래에너지 수소 생산에 원자력이 돌파구
과학동아
l
200403
미래에너지로 수소가 주목받고 있다. 물을 분해하면 얻을 수 있어 고갈될 염려도 없고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도 거의 없기 때문.그런데 원자력 얘기는 제쳐두고 왜 수소에 대해서만 떠드느냐고? 당연히 원자력이 수소와 관련이 있기 때문.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현재 과학자들은 여러 방법을 ... ...
3 물을 단계적으로 분해시켜 제조하는 비법
과학동아
l
200310
개발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주로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2단계의 열화학 사이클 연구와
원자력발전소
의 열을 이용한 수소 생산기술을 개발중이다.국내의 열화학 수소 제조기술은 1980년대 말까지만 해도 극히 단편적인 기초연구가 간간히 진행되는 정도였다. 다행히 대체에너지 관계법이 공표된 이후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
과학동아
l
200310
지난 9월 21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유로파와 충돌가능성이 있는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를 추락시켰다. 탐사선에 있을지 모르는 지구의 박테리아에 의해 유로파가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유로파는 목성의 위성으로 이 외에 이오, 가니메데, 칼리스토 등이 있다. 목성의 대기로 추락할 때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09
보은함으로써 다시 한번 주목을 받았다.체르노빌 오염물 제거한 해바라기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방사능 유출사건은 인근지역의 토양과 물을 방사성 물질로 오염시켰다. 당시 오염된 범위가 너무 방대했기 때문에 수거나 화학처리만으로는 역부족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이 바로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06
미국은 대(對)이라크 전쟁의 목적이 테러리즘 근절과 대량살상무기 위협의 제거라고 분명하게 내세웠다. 하지만 이와 함께 점점 고갈돼가는 석유를 확보하려는 또다른 목적이 숨겨져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번 전쟁을 두고 ‘에너지 전쟁’이라고 보는 시각이 존재한다.지구상의 석 ... ...
3 배출된 이산화탄소 격리수용 시킨다
과학동아
l
200306
21세기에는 에너지 사용의 증가로 인한 지속적인 이산화탄소의 배출과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에너지의 생산과 사용, 그리고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에 대해 철저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1997년 연간 7.4GTC(기가탄소톤)에 달했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2100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