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념
세계관
형이상학
인생관
수사학
d라이브러리
"
철학
"(으)로 총 1,029건 검색되었습니다.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306
0)러셀의 가장 큰 업적은 기호나 언어 분석을 통해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는 분석
철학
을 창시한 것이다. 수학의 기초 원리를 연구하며 집합론에 모순이 있다는 것을 밝힌 ‘러셀의 패러독스’를 발견한 것도 큰 공으로 꼽힌다. 또 1+1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것으로 유명하다.로랑 슈와르츠(1915 ... ...
PART 1. 테스토스테론은 진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306
위치에 올라서거나 권력을 쥔 사람들이 자신도 모르게 진상을 부리는 심리는 무엇일까?
철학
자 아론 제임스는 권력의 피라미드로 올라갈수록 ‘또라이(asshole)’를 발견할 확률이 높다고 말하며 “그들은 특전을 당연하게 여기고, 행동의 바탕에는 뿌리 깊은 특권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고 ... ...
과학전문기자가 와인 파티를 연다면?
과학동아
l
201306
교수의 ‘피로사회’가 있다. 모두가 이 책이 말하는 ‘소진’과 ‘규율사회’의
철학
을 이야기할 때, 강 작가는 말미의 작은 주석에 주목했다. 거기에는 미국의 면역학자가 언급한 개념이 지나가는 말로 소개돼 있었다. “면역계는 자신과 타자를 구별하는 게 아니라 우호적인 것과 위험한 것을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
수학동아
l
201306
어떻게 페르마의 마지막 문제를 해결했을까?난제와 수학발전의 방식미국의 유명한 과학
철학
자인 토마스 쿤은 ‘과학의 진보는 연속적인 향상의 과정이 아니라, 큰 틀의 발전과 작은 틈새를 매우는 정상과학기로 구분된다’고 주장했다. 이 말은 세계관의 변화를 유발하는 중요한 화두가 오랜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304
전까지는 관찰에만 의존했어요. 자연을 관찰하고 기록한 것이 전부였죠. 그래서 영국의
철학
자 프랜시스 베이컨은 제대로 된 과학을 하기 위해선 ‘실험적 방법’과 ‘귀납 추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또한 그는 3단 논법과 같이 연역적인 방법으로 과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 ...
[4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04
자연과학의 요소를 불어 넣었다.다시 본론으로, 이론상 팀 버튼의 작품관과 행동학파의
철학
은 상당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팀 버튼의 문화적 영향력을 고려해 본다면 팀 버튼은 숨겨진 세기의 심리학자가 아니었을까? 그 해답은 여러분의 판단에 맡긴다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
과학동아
l
201304
벌이며 리센코는 자신의 이론이 당시 소련의 국가
철학
인 변증법적 유물론(헤겔의 정신
철학
과 마르크스의 물질론을 적당히 장점만 섞어서 만든 그럴듯한
철학
)에 부합한다고 주장했어. 리센코를 지지한 소련 정부는 1948년 리센코의 이론을 정식으로 채택하고 소련 과학아카데미에 있던 멘델 ... ...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
수학동아
l
201304
비전문가들에게 폭넓게 읽혔고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가 파리 심리학회에서 한 과학
철학
강연은 지금도 유명하다.수학의 다방면에 있어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고, 20세기 최고의 난제를 제시하며, 뛰어난 글재주로 과학과 수학의 대중화에까지 앞장 선 푸앵카레. 그는 진정한 20세기의 마지막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03
시공간이 변할 수밖에 없지 않은가.시공간의 절대성을 놓아버리면 우리는 19세기
철학
자 마하의 말에 귀를 기울이게 된다. 세상에 절대적인 질량은 없다. 중력은 그 물질의 주변에 있는 거대 구조에 의해 상대적으로 주어질 뿐이다. 관성에 의한 질량과 중력에 의한 질량이 같다는 사실은 이미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
과학동아
l
201303
그가 연금술 연구에 심취한 탓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데카르트주의자들은 자연
철학
에서 신비주의를 추방하는 큰 성과를 거두었는데, 이 때문에 마술 같아 보이는 만유인력의 법칙은 오히려 받아들이기 어려웠다.게다가 한 물체가 다른 물체에 가해서 운동 상태의 변화를 일으키는 능동적인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