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고
높이
키
고도
d라이브러리
"
해발
"(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02
약 12km가 되면 공기층이 너무 얇아져서 압축산소마스크도 더 이상 제기능을 못한다.
해발
고도 약 19km 이상의 높이에서는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우리 몸속의 체액이 액체상태로 있기 위한 압력을 유지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주변의 공기압력이 너무나 낮아 몸속에 있는 체액이 끓어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09
대기압은 약 93hPa(헥토파스칼, 1기압은 1013.25hPa)씩 떨어져 해수면에서 1기압인 대기압은
해발
5천5백m에서는 절반으로 떨어진다. 당연히 대기 전체에 퍼져있는 산소의 양도 해수면의 절반밖에 안 된다. 때문에 부족한 산소를 받아들이기 위해 숨을 가쁘게 쉰다. 또한 부족한 산소를 가지고 온몸에 ... ...
5. 산꼭대기에 묻힌 노아의 방주
과학동아
l
199808
빙하 밑바닥에 배 비슷한 물체가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커어티스 소령이 발견한 곳과
해발
에서 차이가 나지만 크기는 비슷했다(약 1백50m). 이들이 회수한 나무 조각을 검사한 결과 4천-5천년 전 것임이 판명됐다.수많은 목격자들이 증언한 배 형태의 물체가 아라라트산에 있다는 점에는 대부분 ... ...
과학지식의 야구 산교육장
과학동아
l
199804
않지만, 거대한 땅덩어리 곳곳에 구장이 널려 있는 미국의 경우라면 사정이 달라진다.
해발
1천5백m 이상에 위치해 있어 마일하이 시티(mile high)란 별명을 가진 덴버구장에서의 경기와 해수면 수준의 고도에 위치한 보스톤의 펜웨이 파크에서의 경기를 비교해 보면, 덴버에서의 경기에서 확실히 ... ...
고지대 적응훈련, 2주효과가 고작
과학동아
l
199802
전세계 스포츠 과학자들은 고지대에서의 스포츠 능력에 관한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해발
2천2백40m 높이에 위치한 고원도시인 멕시코시티는 열대에 위치해 있지만 월평균 기온은 최고인 5월에도 17℃, 최저인 1월은 12℃ 정도에 불과하다. 이는 고도가 1천m 오를 때마다 기온은 6℃씩 하강하기 ... ...
한민족의 뿌리 알타이
과학동아
l
199712
수만년 전에 살다간 우리의 조상이 누워있을 것만 같다. 만년설을 헤치고 오르면
해발
2천3백m의 우코크고원이 펼쳐진다.이처럼 높은 곳에 동토의 땅 시베리아에 활짝 펼쳐졌던 고대문명의 자취가 있다. 2천5백년 전 알타이 주인이던 파지리크인들은 이곳을 '하늘의 목초지'라며 신성시했다. 하늘에서 ... ...
2. 고산능력
과학동아
l
199711
다다를 수 있는 한계 높이는 어느 정도 일까? 불가능의 영역 에베레스트대체로
해발
3천m 높이까지는 인간이 적응하기에 무리가 없지만 그 이상 높은 곳에서는 신체에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등산가의 경우 자주 고산환경에 접하면서 적응의 한계를 조금씩 높여가면 점점 높은 곳에 적응할 수 있게 ... ...
땅 위에 살게 된 최초의 식물 이끼 기르기
과학동아
l
199706
높은 산악지방이나 툰드라지방, 심지어 극지방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히말라야 산맥의
해발
5천4백m 고지대에서, 남극에서는 남극점으로부터 4백80km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이끼류가 발견된다. 북극권의 툰드라에 서식하는 이끼는 무릎 높이까지 자라 드넓게 지표를 덮으며, 겨울철에는 순록의 ... ...
잉카의 후예 께로족
과학동아
l
199701
싼다. 의식을 치르기 위해 마련한 음식들이다. 그런 후 그것을 태워 잉카 신에게 올린다.
해발
2천5백m 이상에서만 사는 라마는 안데스에서 없어서는 안될 교통수단이요 식량이기 때문이다. 그 라마가 아무 탈없이 잘 자라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것이다.의식이 끝나면 라마를 치장하는 행사가 ... ...
백두산 곤충
과학동아
l
199609
살고 있단 말인가. 이는 틀림 없이 별종일 것이다.천지에서 산등성이를 따라 내려와 다시
해발
2천m 부근에 나타나는 수목한계선에 다다르면 거제수나무 군락이 보인다. 성충으로 겨울을 난 공작나비와 쐐기풀나비가 보였다. 수목한계선 밑으론 넓은 숲의 거대한 바다가 끝간데 없이 펼쳐져 있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