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d라이브러리
"
행성
"(으)로 총 1,674건 검색되었습니다.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08
태양으로부터 30~50AU(1AU는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영역에 퍼져 있다. 명왕성 같은 왜
행성
뿐만 아니라, 얼음과 탄화수소, 암모니아 등으로 이뤄진 작은 천체도 많다. 과학자들은 이 영역에 지름이 100km 이상인 소천체가 10만개 이상 있으며, 카이퍼벨트가 일부 혜성의 고향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08
우리를 에워싸는 수억 광년 우주의 구조와 만났다.2주간의 우주여행을 마치고 다시
행성
지구에 돌아왔다.저 구름 너머의 하늘에 펼쳐져 있는 아름다운 우주의 풍경은 마음 깊은 곳에 생생하게 남았다.지구에 누워 우주의 역사를 읽다망원경에서 눈을 떼고 바닥에 누워 하늘을 바라봤다. 밤사이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7
kimbssss@hot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피부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다. 진료시간 이외에는
행성
지구와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는데 매진하고 있다.김지현_voyages@hanmail.net과학동아 별학교장. 우주과학작가로 활동하며 ‘별헤는 밤 천문우주실험실’ ‘별 가족 태양계 탐험을 떠나다’ 등의 책을 썼다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07
더 정확한 방법으로 번개가 칠 횟수를 예상했다. 데이빗 롬프 버클리캘리포니아대 지구및
행성
과학과 교수팀은 미국 곳곳에서 기상 관측장비를 실은 풍선을 하늘에 띄워 대류의 유효위치에너지를 측정했다. 이 에너지와 강수량을 이용하면 번개가 칠 횟수를 예상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공식을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07
2 번개는 생명을 낳고 먹여 살린다생명체가 태어나기 전, 지구의 대기는 불안정했다. 소
행성
이 수없이 많이 부딪쳤고, 번개도 많이 쳤다. 원시지구의 대기와 바다에는 메탄과 암모니아 같은 물질이 가득했다. 과학자들은 번개가 자주 치면서 이런 물질이 단백질이 됐다고 추측한다.이뿐만이 아니다. ... ...
빛으로 하는 우주 항해, ‘라이트세일(LightSail)’
과학동아
l
201506
유명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공동창립한 미국의 비영리단체 ‘
행성
협회(The Planetary Society)’가 태양풍을 추력으로 움직이는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다. 5월 20일 시험비행에 나설 예정이다.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
과학동아
l
201506
물리학 이론은 실제 세계를 설명할 수 있을 때야 비로소 의미를 갖는다. 뉴턴의 역학으로
행성
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뉴턴 방정식을 구체적인 상황에 적용해 풀어내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반상대성이론으로 현상을 설명하려면 중력장 방정식을 실제로 풀어내야 한다. 이 일을 처음 해낸 ... ...
EXO직캠 찍어볼까?
과학동아
l
201506
편집자 주과학동아의 외계
행성
탐사 중계는 계속됩니다. 여러 달에 걸쳐 광도변화를 측정 한 자료는 다음번에 발표할 계획입니다. 외계
행성
탐사 와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 는 분은 풍문여고 조용현 선생님(astrozoom@sen. go.kr)께 연락주세요.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506
어떤 학자들은 외계인이 이 책을 만들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책에는 지구를 비롯한
행성
이 태양 주변을 도는 그림과 식물을 특징에 따라 분류해 놓은 그림, 인체 기관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그림이 잔뜩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지구를 정복하기 위해 찾아온 외계인들이 지구를 ... ...
수성 탐사선 ‘메신저’ 편히 잠드소서
과학동아
l
201506
7년 간 복잡한 여정을 거쳐 2011년 우주선 가운데 처음으로 수성 궤도에 진입했다. 태양계
행성
중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는 수성은 크기가 가장 작고 궤도가 극단적인 타원 형태를 띠고 있어 진입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밤낮으로 온도가 600℃씩 오르내리는 극한 환경이다.메신저호는 이런 어려움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