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또
Kyoto
쿄토
쿄또
경도
d라이브러리
"
교토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땅속 찌든 때까지 씻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국은 현재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적인 수준이지요. 그러니
교토
의정서가 적용되기 전에 빨리 온실가스 배출 증가를 막을 방법이 필요합니다.”연구실은 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이 고민에 해답을 하나 내놨다. 바로 이산화탄소를 광합성에 사용하는 해조류를 키우는 것. ... ...
빛을 나노 공간에 가둔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나노 공간에 가두는 신기술이 개발됐다. 인하대 출신의 송봉식 박사(일본
교토
대 전기공학과 박사후연구원)는 빛을 가둘 수 있는 새로운 나노구조를 만들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에 발표했다.송 박사는 서로 다른 광결정구조를 붙여 빛을 나노 공간에 강력하게 가둘 수 있는 구조를 ... ...
일본 '수소 담은 탄소 공' 만들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연구팀이 수소 분자를 담은 탄소 공을 만드는데 성공했다.일본
교토
대 화학연구소 연구팀은 ‘풀러렌’으로 불리는 축구공 모양의 탄소 공에 수소 분자를 담는데 성공했다고 과학 학술지 ‘네이처’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이 탄소 공은 탄소원자 60개를 마치 축구공처럼 연결한 것이다. 연구팀은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지난해 11월 러시아가
교토
의정서를 비준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당장 오는 2월 16일부터
교토
의정서가 발효돼 온실가스 배출량 제제가 시작된다. 해당 국가나 기업은 허용량만큼만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만약 허용량보다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면 톤당 40유로씩 벌금을 내야 한다. 물론 ... ...
맹인견 대신할 전자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약한 사람들이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인공눈이 개발됐다.일본
교토
기술연구소의 토다요시 시오야마 박사와 모하마드 우딘 박사는 소형 카메라 한 대로 이뤄진 전자눈을 개발했다. 전자눈을 안경이나 입는 컴퓨터 위에 고정시키고, 전자눈의 카메라가 포착한 영상을 분석하도록 한 것.전자눈의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미국이 우주태양광 연구에 진전이 이뤄지지 않던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에 일본에서는
교토
대 마쓰모토 히로시 교수를 중심으로 핵심적인 기술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뤄졌다. 우주태양광발전의 핵심기술인 무선전송에 대한 가능성을 우주공간에서 직접 실험하면서 상당한 발전을 거뒀던 ... ...
돌고래 날쌘 헤엄의 비밀은 피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몸매 때문만은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피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일본
교토
공대의 요시미치 하기와라 교수의 연구팀은 돌고래의 피부가 물의 저항을 줄여준다는 점을 발견하고 영국 물리학회가 발행하는 ‘터뷸런스’(Turbulence) 5월호에 발표했다. 이번 발견은 좀더 빠르고 효율이 ... ...
CO₂ 감축 약속
교토
의정서 사장될 위기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나오고 있다.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미국과 러시아가 참여하지 않고서는
교토
의정서는 영원히 발효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이산화탄소 감축안을 새로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 그동안 미국과 러시아는 개발도상국들도 감축해야 한다고 불만을 제기했기 때문에 불똥이 ... ...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때 서로의 존재를 알리는 소리로서 침팬지마다 음색과 강약이 제각각이다. 작년에 일본
교토
대 영장류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필자는 팬트 후트의 실례를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었다. 옥내 실험실에 있던 침팬지 한마리가 팬트 후트를 시작하니 1백m 떨어져 있는 옥외 시설에 있던 침팬지들이 이내 ... ...
한국영장류연구소 출범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연구소에는 연구소 건물과 침팬지들을 위한 야외공간이 7천여평에 조성돼 있다.특히
교토
대 영장류연구소에서는 마쯔자와 교수가 주도한 ‘아이(Ai) 프로젝트’로 큰 성공을 거뒀다.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타 침팬지가 된 아이는 수리·언어·인지 측면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여 영장류 연구에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