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스
케이스
상자
나무궤짝
프레스
press
box
d라이브러리
"
궤
"(으)로 총 48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일이 있었는지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이 밖에도 달 정찰
궤
도 탐사선이 찍은 예술적인 달 사진들을 감상해 보자.LRO가 찍은 가장 예술적인 달 사진은? 달, 얼마나 알고 있을까?지구의 유일한 위성이자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인 달. 과학자들은 달이 약 45억년 전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수 있고 바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드래곤V2, 펠컨헤비로켓에 실려 발사 2차 추진체로 지구
궤
도에 진입 태양광 패널로 전기 보충 ISS에 도킹 드래곤V2 캡슐만 분리 지구 대기권 재진입 반동추진엔진을 켜고 지구 어디에나 안전하게 착륙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눈치를 봐야 한다.뜨거운 목성의 종말은 어떠할까? 중심별과의 조석작용에 의해
궤
도 에너지를 잃게 되면 안쪽으로 더욱 끌려들어가다가 마침내 중심별에 먹힌다. 이 때문에 행성을 이루는 물질의 응집력과 조석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인 ‘로시 한계’ 근처부터는 외계행성이 발견되지 않는다.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우주관광 비용은 로켓을 새로 제작하는 데 들어간다. 스페이스X의 로켓 ‘팰컨9’을
궤
도에 올리 는 비용은 총 600억 원인데, 그 중 연료 비용은 약 2억 원에 불과하다. 그래서 스페이스X는 우주선을 실은 로켓을 발사한 뒤, 로켓을 바다에 버리지 않고 수직으로 다시 착륙시키는 방식을 고려 중이다. ... ...
기후변화 주범 정확히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OCO-2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우주에서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관측하려고 쏘아올린 두 번째 지구관측 전용위성이다.2009년에 발사된 첫 우주선은
궤
도 진입에 실패했다. ...
❶ 행성의 타원
궤
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계속 보시려면?INTRO.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 과학과 ‘썸’탄 수학 6❶ 행성의 타원
궤
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❹ 힉스입자 - 수학적 대칭이 깨지면 질량이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직전이다. 도킹에 성공하면 해치를 열고 12명의 승무원은 감격적인 포옹을 할 것이다.
궤
도 위에서 더 외롭고 고단했을 사령선의 승무원들과 착륙선의 승무원들은 서로를 축하하고 격려할 것이다. 그러고 나면 지구로 출발할 것이다. 며칠에 걸쳐 사령선을 점검한 뒤 화성이륙모듈과 화물모듈을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하늘에 그냥 돌 덩어리가 떠다니는 정도다. 그 런데 묘하게도 목성의 불규칙위성을 공전
궤
도의 기울기 와 거리 별로 분류해 보면, 크게 네 개의 그룹으로 나뉜 다. 또 위성이 전혀 없는 구간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공 전면의 기울기가 60~120° 사이인 위성은 전혀 없다. 목 성과의 거리가 조금 떨어진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년 혹은 수만 년 동안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 안쪽의 행성들에 접근하면서 진주 유성체의
궤
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아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지구근접천체들과 혹시 가족관계에 있는 것은 아닌지 파악하는 일도 진행될 것이다.Q 운석은 얼마나 자주 떨어질까?진주 운석은 71년 만에 한반도에서 ...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케플러(1571~1630)눈 결정의 모양을 처음으로 탐구한 과학자는 행성 운동에 관한 타원
궤
도 법칙을 발견 것으로 잘 알려진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이다. 케플러는 1611년에 발표한 ‘새해의 선물, 육각형의 눈송이에 대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눈 결정은 왜 항상 육각형인지를 다뤘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