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열렸어요. 제 두 번째 GSA였는데요. 원래대로라면 2021년에 열렸어야 했지만, 코로나19로 대
규모
학회를 열 수 없어 역사상 처음으로 4년이 아닌 5년 만에 열리게 됐습니다. 그사이에 박사과정생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저도 조금 성장했고, 이번에는 연구 발표도 할 수 있어 의미있었습니다. 저는 학회 ... ...
[과학뉴스] 역대 최대
규모
화산 중간권 뚫은 기둥 높이는 57km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doi: 10.1126/science.abo4076 통가 해저화산은 1월 15일 격렬하게 분화하면 서 역대 최대
규모
화산으로 기록됐다. 분화 당시 발생한 쓰나미는 1만km 떨어진 남미 대륙까지 도달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 수천 명이 집을 잃었다.이례적인 화산 폭발인만큼 화산재 기둥의 높이도 모호했다. 일반적인 화산재 ... ...
블랙홀이 시간 차 트림을 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관측했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초대질량블랙홀이 태양질량의 500만 배에 달하는
규모
이고 당시 블랙홀이 삼킨 별은 태양질량의 0.1배 정도로 작은 별인 것을 확인했을 뿐이었다. 연구팀은 광학 관측이 이뤄지는 기간 동안 전파 관측도 시도했지만 어떤 신호도 받지 못했다. 첫 관측으로부터 ...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연구해 중성미자의 특성을 밝히는 실험이다. 이 실험도 Y2L에서 진행했던 AMoRE-Ⅰ실험의
규모
를 키웠다. 약 30kg이었던 리튬 몰리브데이트(Li2MoO4) 섬광단결정체를 178kg로 키워 진행할 계획이다. 이중베타붕괴 현상의 관측확률을 높였다.‘잡음’을 제거하는 일도 중요하다. 뮤온은 엄지손톱만한 면적을 ... ...
[특집] 경기장 온도 관리는 수학 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으로!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카타르는 11월에도 평균 최고기온이 30°C까지 올라 우리나라의 여름과 비슷합니다.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된 2010년부터 이런 더위 날씨에 어떻게 축구 ... 관중에게 직접 닿도록 좌석 아래에 통풍구를 설치한 거지요. 이 기술은 우리나라에서도
규모
가 큰 건축물을 지을 때 많이 사용해요 ... ...
[특집]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지하실험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럭스-제플린(LUX-ZEPLIN)’팀 등 60개 기관의 연구자들이 모였다. 유 교수는 “검출기의
규모
를 키우기 위해서는 막대한 인력과 비용이 든다”며 “연구기관들의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고 설명했다 ... ...
[2022 IAC 탐방기]국제우주대회에서 뉴스페이스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한국의 항공우주기술JAXA 부스 옆에는 반가운 글자가 보였다. 여느 해외 부스 못지않게 큰
규모
로 한국 기관과 기업의 부스가 마련돼 있었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 부스 다음으로 많은 관람객들이 이곳을 찾고 있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을 비롯해 나라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에서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웹 오브 사이언스(WOS)’ 카테고리(분야)를 분석했다. 분석은 기초 논문이 받은 인용의
규모
, 인용이 발생하는 연구분야 비중 분포 등에 대해 수행했다.클라우저 창립자가 1969년 실험 방법을 제안한 논문, 아스페 교수와 차일링거 교수가 각각 1982년, 1998년 발표한 실험 논문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상대적으로 무거운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파고들면 모여 있던 에너지가 폭발하며
규모
9 내외의 강력한 지진이 생겨요. 이를 ‘해구형 지진’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연구팀은 쓰나미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나즈카판과 남아메리카판의 수렴 경계에서 약 1000km 길이를 따라 해구형 지진이 나타난 ... ...
[특집]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 중성미자와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0m 고심도 지하실험시설 ‘예미랩’에서 진행될 COSINE-200 실험까지. 국내 연구자들은 실험
규모
를 키워가며 암흑물질의 수색 범위를 좁히고 있다. 예미랩에서 암흑물질을 찾았다는 함성이 울릴 수 있을까. 반중성미자는 왜 사라졌을까 (이무현 기초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 연구위원) 잠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