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쁨"(으)로 총 57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천국보다 낯선, 고독보다 낯선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내향적이든 낯선 이와의 짧은 대화로 누군가를 만나게 된다는 것은 우리에겐 큰 기쁨이라는 것이다.다만 즐거움 ‘예측’에 있어서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이 달랐다. 내향적인 사람은 관계에서 자신이 얻게 되는 즐거움은 과소평가하고, 불안함이나 불쾌함 같은 부정적 감정은 ... ...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입자를 예측한 과학자 프랑수아 엥글레르와 피터 힉스는 201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는 기쁨을 누렸다.입자물리학은 물질 세상이 무엇으로 이뤄져 있고, 어떻게 작용하는지 연구하는 학문이다. 입자물리학에서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입자인 쿼크와 렙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행동하는지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상대를 흡수해 완전히 동일해질수록, VTA에서 더 많은 도파민이 분비되고 우리는 더 큰 기쁨을 느낍니다. 커플룩을 입는 것은 뇌 속에서 이뤄지는 동일화 과정을 외부로도 확장시킵니다. 서로 같은 옷을 입은 상대를 바라보며 상대와 더 하나가 된 느낌을 받습니다.이미 서로를 완전히 다 알아버려서 ... ...
- 귀여움이 생존전략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하면 이 쾌락중추가 자극을 받아요. 쾌락중추가 자극을 받으면 우리는 기쁨을 느끼고,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일을 계속 하려고 해요. 특히 뇌는 생존에 필요한 행동을 할 때 쾌락중추를 활성화 시킨답니다. 아기의 귀여운 모습도 쾌락중추를 자극하는 신호이지요. 그 결과 어른들로부터 양육행동을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다이어트를 통해 음식에 대한 쾌감 회로가 강해지면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더 큰 기쁨을 느낀다. 이런 쾌감을 유지하기 위해 배가 고프지 않더라도 음식을 계속 섭취한다. 점점 더 많이 먹는 ‘내성’이 생기거나 음식을 먹지 않으면 불안하고 초조한 ‘금단’ 증상이 나타난다. 급기야는 음식에 ... ...
- [참여] 수학을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울긋불긋 단풍이 짙게 물든 가을, 경인교대 경기캠퍼스는 수학에 대한 열정과 열기로 또 한 번 붉게 물들었다. 지난 11월 2일,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 마지막으로 민준규 학생은 “최선을 다해 열심히 했더니 저절로 상이 따라왔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자신만의 기업을 만들 수 있습니다. 평소 자신이 꿈꾸던 아이디어를 직접 구현할 수 있는 기쁨을 느낄 수 있습니다.Q 최정문(사회자) 컴퓨터공학을 배우면 컴퓨터를 잘 고칠 수 있나요?A 저는 하드웨어는 잘 모릅니다.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되고 나서 불편한 것 중 하나가 친한 사람들의 컴퓨터를 ... ...
- [참여]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라! 제4회 청심ACG수학대회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최은주 수석연구원은 “학생들이 서로 지식과 생각을 나누며 소통하는 과정에서 기쁨을 누리길 바란다”며, “수학이 실생활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라는 것을 아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수상자 인터뷰“친구들과 즐겁게 웃으면서 문제를 풀 수 있었어요!”초등부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진흙구덩이에 빠진 차를 빼내고 정글칼로 수풀을 헤치던 중 처음 보는 개미를 발견하고 기쁨의 비명을 질렀다. 사정없이 물어뜯는 개미떼를 뚫고 개미집을 파헤치다가 피셔 는 깜짝 놀라 멈춰선다.개미 배의 형태가 개미보다 말벌에 가까웠던 것이다. 개미는 말벌에서 7000만 년에서 1억 년 전에 ...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받은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마냥 즐겁고 신이 나 있다. 왜일까. 화석 발견의 즐거움과 기쁨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여름휴가를 뜨거운 사막에서 보내는 사람이 일본에는 꽤 있다. 고바야시 교수는 “1996년부터 일반인 참가자가 탐사에 함께 해 왔다”고 말했다. 실제로 발굴단의 카미무라 히데오 씨는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