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대기"(으)로 총 502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모두 껐다. 창문으로 다가가 해를 등지고 서서 머리 그림자를 찾고, 해와 그림자의 머리 꼭대기를 잇는 ‘가상의 직선’을 상상했다.그 가상의 직선과 눈이 42°를 이루는 곳을 찾았다. 해가 높게 뜬 정오에는 무지개가 발 근처에 생기겠지만, 지금은 그림자가 길게 진 시간이라 무지개가 높게 뜰 것 ... ...
- 홈스테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전부터 그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지금은 소수민족이 되어버린 왕실 직영지 거주민들. 꼭대기에 있는 고풍스러운 성 아래로 색색이 아름다운 곡선 모양의 성벽이 민가 전체를 감싸고 있는 특이한 요새 마을. 그리고 지금 그곳은 인종청소의 위협을 받고 있는 곳이었다. 윤희나가 속한 국제기구는 ... ...
- 중력으로 욕심을 비워내는 잔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빌 때까지 아래로 내려오죠. 그럼 오물은 물과 함께 안녕인 거죠. 물은 다시 볼록한 관 꼭대기를 넘어가지 않을 정도로 채워지고요.정말 수세식 변기의 물이 비워지는 원리가 계영배와 다르지 않네요. 마시는 잔과 화장실 변기의 원리가 같다니 신기해요.과동아. 사이펀을 이용해서 용액의 위치를 ... ...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두 개가 보였다. 에트나 산의 정상이었다. 하얀 가스가 안개처럼 사면을 덮고 있었고, 꼭대기는 유황으로 뒤덮여 황록색을 띠고 있었다. 설마 그럴 리는 없겠지만, 혹시나 눈앞에서 갑자기 화산이 폭발하면 어쩌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풍요와 재앙의 상징일정을 마치고 카타니아로 돌아갈 때는 따로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지름 5km의 칼데라가 형성됐다. 본래 백두산 화산의 해발고도는 3500m로, 화산체 모양도 꼭대기가 살아있는 원추형이었지만, 상부가 무너지면서 높이 2750m의 칼데라 화산체인 현재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백두산은 이후에도 26번 이상 분화했다. 백두산 분화에 대한 마지막 기록은 1903년, 1925년이다 ... ...
- 문명 업은 인류, 등골이 휘었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이길 수 없는 싸움을 하는 그리스 신화의 시지푸스와도 같습니다. 끝도 없이 피를 몸의 꼭대기로 퍼올렸습니다. 언제 백기를 들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인간은 다른 동물보다 심장과 관련한 사망률이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두 발 걷기는 출산의 고통도 늘렸습니다. 인간은 아기 때부터 ...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4호
- ”2월 말 구글 본사를 방문했을 때 재미있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하얀 색의 자동차가 꼭대기에 레이더를 달고 구글 캠퍼스를 계속 돌아다니는 모습이다. 바로 구글 무인자동차다.구글에서는 ‘셀프드라이빙카(Self Driving Car)’라고 부른다. 시험 주행에서 무려 48만 km를 무사고로 주행했고 공식 ...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부식성이라 발사가 미뤄지면 연료를 다시 빼내고 주입해야 한다. 관측 장비는 보통 로켓 꼭대기에 실리며, 페어링으로 덮어 보호한다. 경우에 따라서 분리되기도 하고 그대로 함께 땅에 떨어지기도 한다.사운딩 로켓은 대기권이나 전리권 관측에 특히 유리하다. 무엇보다도 이곳을 직접적으로 ...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비롯한 오해일까. 연구에 참여한 사이먼 브라운 박사는 이 특이한 성질을 언덕 꼭대기에 몰려있는 구슬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아래 그림). 이 구슬은 최대의 에너지를 가졌으며 안정한 상태인 음의 온도의 입자들에 대한 비유다. 브라운 박사는 “이 구슬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는 건 이미 더이상 ... ...
- [화보] 디자인, 기하학으로 진화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떠다니도록 디자인 됐다. 공중에 투하된 플롯 베이스 스테이션의 포장이 풀어지면 꼭대기의 풍선이 부풀어 오른다. 이렇게 하늘에 올라간 수신기는 통신 신호를 받아들이고 전송할 수 있다. 풍선은 마치 도넛처럼 가운데가 뻥 뚫린 토러스 형태다. 토러스란, 원통의 왼쪽 가장자리와 오른쪽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