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로"(으)로 총 2,233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소설] 목가와 숙녀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귀고리가 눈에 띄었다. 여러모로 어제와는 달랐지만 나를 신기한 듯 바라보는 눈빛은 그대로였다. “어, 그래.” 나는 머쓱히 대답했다. “계속 거기서 얘기할 거야? 네가 물속에 있는 게 보기 좋긴 하지만, 인어랑 대화하는 것 같아서 좀 그래.” 인어라고……? 무슨 그런 비유가 다 있담? 내가 ... ...
- 앱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다! 하인슈타인 하이드리밍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꿈이 생겼습니다. 청소년을 위해 대변하는 어른이 되고 싶고, 또 백재순 교수님의 조언대로 아이콘과 앱을 디자인하는 UI/UX 디자이너가 되는 꿈도 꾸게 되었지요. 미래에는 직업을 1개만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없을 거예요 ... ...
- 인류를 자동차 사고에서 해방시키다 │ 서승우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여러 분야가 함께 발전해야 한다. 한 예로 왕복 8차선으로 폭이 넓은 서울 여의도의 국회대로는 운전자들이 멀리서도 잘 볼 수 있도록 신호등을 높게 설치했다. 우리가 개발한 자율주행차 스누버는 보통의 신호등 높이에 맞게 센서가 장착돼 있기 때문에 이 신호등을 감지하지 못한다. 신호등이 ... ...
- [특집] 놀이터 최종 점검! 어린이 감리단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지어야 하거든. 놀이터가 지어졌다고 바로 이용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 놀이터가 계획대로 잘 만들어졌는지, 놀이기구는 안전하게 지어졌는지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거든요. 이때 ‘어린이 감리단’이 활약해요. 어린이 감리단은 놀이터가 개장하기 전 각 놀이기구를 미리 체험한 후 보완할 ... ...
- [특집] 숲이 나이 들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이후에는 광합성 능력이 점점 떨어지고 빨리 죽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거예요. 이 속도대로라면 21세기 말 캐나다의 식물 성장 시기는 지금보다 20~40일 정도 더 길어질 것으로 분석되었답니다. ●식물 성장 시기 :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시기. 온도, 강수량 같은 기후 요건이 식물 성장에 가장 적합한 ... ...
- [수담수담] 몸으로 느끼는 수학은 좋은 기억을 남겨요-손대원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수석 교사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나왔거든요. 영어나 국어는 아무리 공부해도 점수가 잘 안 오르는 반면, 수학은 노력한 대로 점수가 쑥쑥 올랐어요. 또 과정을 이해하면서 어떤 명제로부터 규칙에 따라 결론을 이끌어 내는 연역적 접근 방식이 마음에 들었어요. 삼각형의 무게중심을 배울 때는 중선 3개가 한 점에서 만난다는 사실 ... ...
- [에디터노트] 사람은 강을 넘지 못하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찾았습니다. 강물을 막은 채 건설 중이던 보는 상상 이상으로 컸고, 물길마저 마음먹은 대로 돌리는 토목 기술에는 경이로움과 함께 원망의 감정이 동시에 들었습니다. 수십 대의 굴삭기가 끝없이 도열해 강바닥을 준설하던 모습에서는, 만약 강의 비명을 시각화한 작품이 있다면 이런 형태가 아닐까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지나기 전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의약품 성분이 현재의 하수처리기술로는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doi: 10.1038/s41598-021-89028-3김 교수가 2019년 서울 성동구와 강남구 하수처리장의 유입수와 유출수를 채취해 52종의 의약품 농도를 조사한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조사 결과 해열제, ... ...
- [기획] 발 빠른 가짜뉴스, 어떻게 퍼질까?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허위정보를 믿고 퍼뜨리는 사람이 있으면 반대로 그것을 믿지 않고 사실을 확인하려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그래서 전체 인구를 가짜뉴스를 믿는 사람(B)과 믿지 않는 사람(F), 그리고 아직 가짜뉴스를 접하지 못한 사람(S)으로 나눴습니다. 그런 후 한 시점에서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좋은 친구를 만나는 게 아닐까 싶다. 또 피카소가 미술이 주는 자유로움으로 황소를 마음대로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었듯, 나 역시 수학이 주는 자유로움 덕분에 복잡한 생명 시스템을 단순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됐다. 이런 수학의 자유로움으로 현재는 식물이 가뭄에 적응하는 법, 박테리아 사이의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