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뜰"(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학에 한번 빠져 봅시다과학동아 l2005년 07호
- 전자공학, 화학공학 등으로만 나누고 있다면 이 책에서 공학을 보는 새로운 눈을 뜰것이다. 로봇공학, 자동차공학, 항공우주공학부터 이동통신공학, 포토닉스, 생체재료공학, 수자원공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 등 20개 첨단 공학 전공의 현재와 미래를 서울대 공대 교수들이 친절하게 설명한다. ... ...
- 사하라 사막 지킴이 '모래아리 까끄르'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7호
- 눈물을 흘렸다.다시 생각해 보면 모래아리 까끄르가 오아시스의 물을 시간 안에만 뜰 수 있게 한 것, 낙타의 특성을 알고 고르게 한 것, 모두가 자연을 사랑하고 보호하려는 마음에서 문제를 낸 것이었다. 그리고 결국 썰렁 홈즈를 도와 우승을 한 것이었다. 자연 사랑과 감동이 가득한 사막 횡단 ...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과학동아 l2005년 06호
- ‘황의 법칙’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플래시, 질까 뜰까플래시메모리가 이렇게 뜰 줄 짐작이나 했을까. 2000년대 초 대부분의 사람들은 개인용 컴퓨터 산업의 성장이 느려지면서 덩달아 반도체 산업도 내리막길을 걸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반도체 중에서도 메모리는 초미의 관심사였다. 이 중 ...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과학동아 l2005년 05호
- 미술원 매체과 이주용 교수는 요즘 연예인을 모델로 홀로그램 작품을 만드느라 눈코 뜰 새가 없다. 인기리에 방영중인 드라마 ‘해신’의 최수종, 채시라, 송일국, 수애와 ‘불멸의 이순신’의 최재성, 이재룡은 이미 촬영을 마쳤다. 이 교수 연구실을 방문한 날 마침 이순신 역할을 맡고 있는 탤런트 ... ...
- 내 손가락을 잡아 봐~봐~봐~!과학동아 l2004년 10호
- 생기는 규조토가 결합돼 만들어지는 천연물질이다. 인체에 해가 없어 치아의 모형을 뜰 때 사용하거나 의약품, 화장품, 아이스크림 등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첨가하기도 한다. 알지네이트의 75%는 수분으로 구성돼 있어 공기 중에서 쉽게 말라 수축되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작업하는 것이 좋다 ...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과학동아 l2004년 09호
- 생긴 에피소드는 수없이 많을 것이다. 휴일이 기다려지는 이유 중 하나도 해가 중천에 뜰 때까지 늦잠을 잘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학생은 쉬는 시간에, 직장인은 점심시간 후에 잠깐 자는 잠은 꿀맛 같다. 하지만 운전 중에는 단 몇초 동안의 졸음이 자칫 끔찍한 대형사고를 초래하기도 한다 ... ...
- 황사박사 전영신과학동아 l2004년 05호
- 아이들은 엄마 아빠의 대화를 통해 세상 눈을 뜨잖아요. 우리 애는 기상학에 일찍 눈을 뜰 수 있었던 거죠.황사를 연구한지 10년 됐는데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나의 평생 꿈은 황사에 대한 책을 쓰는 거예요. 남편은 2권을 쓰라더군요. 한권은 쉽게, 한권은 어렵게. 조만간 이뤘으면 하는 ...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과학동아 l2004년 04호
- 용광로 아래 용해로에 고인 쇳물은 바가지로 떠서 거푸집으로 옮긴다. 바가지로 쇳물을 뜰때는 규소가루를 뿌려 쇳물의 유동성을 좋게 한다. 쇳물 온도가 너무 높아 제대로 성형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쇳조각을 넣어 온도를 낮추기도 한다. 또 쇳물을 붓기 전 갈라진 곳을 메우고 외형을 ...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로보스트라이더’(Robostrider)를 만들었다. 그는 로보스트라이더가 표면장력으로 물위에 뜰만큼 가벼우면서 스스로 노를 저을 수 있는 장치를 갖도록 했다.찬은 가벼운 몸통을 만들기 위해 경알루미늄인 음료 캔을 재료로 썼다. 그리고 가늘고 긴 다리는 0.2mm 두께의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강 ...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높은 식물이다.노 박사팀이 선택한 포플러는 특수한 품종이다. 봄이 되면 눈을 제대로 못뜰 정도로 날리는 솜(씨)을 만들어내지 않기 때문이다. 임업연구원은 10여년 간 전국 각지를 뒤져 이같은 불임성 포플러를 찾아냈다.노 박사팀은 식물 세포 배양을 통해 유전자가 삽입된 포플러를 만드는데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