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뮬레이션
시뮬레이터
에뮬레이터
모의훈련
d라이브러리
"
모의실험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자이툰 부대와 함께 이라크 아르빌에 파견됐던 국산로봇 롭해즈의 귀국신고식이 지난 3월 9일 열렸다. 지난해 8월 자이툰 부대를 따라 나선지 꼭 217일만의 일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유진로보틱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공동 개발한 롭해즈는 사람을 대신해 폭발물 탐지와 제거 등 위험임 ... ...
빅뱅 직후 우주는 액체 상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빅뱅(대폭발)’직후의 우주가 액체 상태였다는 새 학설이 제기됐다.일본 도쿄대와 미국 브룩헤븐 국립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18일 미국 물리학회에서 이 같은 새 이론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0년 이후 가속기를 이용해 금의 원자핵을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정면 충돌시키는 실험을 계속해왔다. 이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인광석을 다른 원료와 함께 구워 원광의 플루오르아파타이트 구조를 파괴하여 함유된 인산을 녹기 쉽게한 인산비료 반도체에서 전기전도에 기여하는 전자와 양공 중 밀도가 적은 쪽 소수 캐리어라고도 하며, 밀도가 높은 쪽은 다수 반송자라고 한다진성 반도체에서는 양공과 전자의 수가 같으나 ... ...
슈퍼컴퓨터로 우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과학자들이 우주의 비밀을 푸는데 한걸음 더 다가갔다.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의실험
)을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의 ‘가상 우주’를 만들어 우주가 진화해온 과정을 속속들이 재현한 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지난 1월 6일 한국고등과학원(KIAS) 물리학부의 박창범 교수와 김주한 박사는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또는 면 단위 국지적 예보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분석 영역을 좁은 격자로 많이 나눌수록
모의실험
에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기상을 관측하는 곳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좁은 지역에 대한 기상변수를 모두 얻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좁게 나눠봤자 수치모형에 적용할 기상변수를 ... ...
생명체가 컴퓨터 속으로 들어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란 이름의 가상환자는 의사가 심장병이나 당뇨병을 진단, 치료하기 전에
모의실험
을 할 수 있게 해준다.시간·비용·노동 집약적 실험 대체20세기에는 정보기술이 반도체와 인터넷 산업의 발전을 주도했다. 21세기에는 생명과학기술이 중심이 돼 산업 발전을 주도하게 될 것이다. 향후 의약품을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태평양 한가운데, 현지시간 6월 15일 아침 8시 40분. 잠수정 ‘노틸’ 은 잠수준비를 끝냈다. 운반차량에 실려 아탈랑테호 갑판 후미로 이동한 잠수정은 곧이어 케이블에 매달려 물 속으로 들어갔다. 잠수정 창밖으로 아탈랑테호의 스크루가 천천히 돌아가는 것이 보였다. 잠수부들이 모선과 연결돼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난 4월 18일 뉴질랜드의 한 신문은 두살 난 남자 아기가 부모를 3명이나 두게 됐다고 보도했다. 레즈비언 부부 중 한 여성이 남성으로부터 정액을 기증받아 아기를 출산한 것이다. 뉴질랜드 법정은 레즈비언 부부에게는 공동 양육권을, 정액을 기증한 남성에게 공동 후견인 지위를 부여해 결국 한 ... ...
광우병 내성 소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국내 연구진이 광우병에 걸리지 않는 소와 장기이식용 돼지를 복제하는데 성공했다.지난해 12월 10일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는 “11월 15일부터 29일까지 광우병 내성 암소 4마리가 태어나 현재 건강한 상태이고, 장기이식용 돼지는 9월부터 11월까지 3회에 걸쳐 6마리가 태어났다”고 밝혔다. ... ...
2 온몸으로 느끼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개발했다. 그 결과 새로운 실시간 햅틱 렌더링 알고리듬을 만들어 사람의 간을 대상으로
모의실험
을 수행했다.이 의료 시뮬레이터는 의사들이 촉진법을 통해 암이나 기타 다른 조직을 찾아 낼 수 있도록 훈련을 하는데 쓰일 예정이다. 그 밖에 KAIST 기계공학과에서는 헬리콥터 조정을 배울 수 있는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