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적"(으)로 총 3,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수 있는 해저 도시는 아직 없어요.울산의 해저 도시는 단순 관광 시설이나 연구를 위한 목적이 아닙니다. 연구와 데이터를 보관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지내며 주변을 탐사하고 자체적으로 에너지도 생산할 수 있는 해저 도시를 목표로 하지요. 해저 공간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KIOST 한택희 ... ...
- [파고캐고 지질학자]강 따라 흐른 용암의 흔적을 찾아라!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다른 증거는 아우라지에서 15분 거리에 있는 ‘백의리층’입니다. 오늘 답사의 마지막 목적지이기도 하죠. 백의리라는 마을에서 발견되어 ‘백의리층’이라 불리는 이 지층은 아래쪽에 자갈층이, 위쪽은 현무암으로 덮여 있습니다. 자갈층의 자갈은 아주 둥글게 마모되어 있어서, 이전에 하천의 ...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한다”며 공원과 대피소를 예로 들었습니다. “기후재난의 유형이 워낙 다양하니,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재난 대응시설을 만들자는 이야기가 최근 나오고 있다”며 “예를 들어, 도시에 공원을 만들 때 지하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시설과 지상에는 대피소를 만드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 ...
- [SF 소설]톨리의 숲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과금을 이끌어내야 한다. 현생의 몸에 의존하지 않는 진짜 예진을 만들겠다는 새로운 목적을 갖고서, 톨리는 삐빗, 하고 포효했다. 예진의 스킨을 소중하게 저장하고, 톨리는 유저들을 맞으러 떠났다. ※이 콘텐츠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둥둥 뜨는 영화관? 플로팅 홀로그램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방패 연구를 지속하겠다”는 말과 함께 “누구든 구입할 수 있으나 러시아 등 군사적 목적으로 쓰일 위험이 있는 곳에는 판매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도전! 섭섭박사실험왕! 정희석(jhs698)우유 속에 꽃 피우기 성공! 완전 예쁘네요~! 실험 하나 더!알록달록 무지개 색깔 그림자가 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모든 사람에게 편리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비슷한 경험을 한 적 있나요?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기기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는 능력을 뜻해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데 있어 누구나 필요한 역량이죠. 그런데 디지털 기기는 우리의 삶을 편안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기기가 없거나 기기에 쉽게 ... ...
- [그래프뉴스] 검은코뿔소를 지킬 방법이 머니? 야생동물 보호 채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처음 빌린 돈에 덧붙여 주는 돈이에요.투자★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돈을 내거나 시간을 들이거나 정성을 쏟는 걸 말해요.이자율★ 원금(처음 빌린 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말해요. 예를 들어 빌린 돈이 100만원이고 이자가 5만원이라면, 이자율은 50000/1000000×100 을 계산한 ... ...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데다, 원인이 무엇인지조차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자폐 치료는 ‘완치’가 목적이라기보다 생활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거예요.”30개월 때 자폐 진단을 받은 호민 씨의 어머니, 채영숙 씨의 말이다. 자폐는 ‘원인 치료’라는 게 없다. 채 씨는 “자폐와 같이 살아가는 방법을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8월 8일, 중부지방의 하늘이 뚫렸다. 8일 0시부터 9일 오전 10시까지 서울엔 424.5mm의 비가 쏟아졌다. 이어 경기 여주는 412.5mm, 경기 양평 398.5mm, 경기 광 ... 수도 있습니다. 빗물 저금통을 마련해 빗물을 모으고, 이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는 다목적 분산형 빗물 관리법을 논의해야 합니다 ... ...
- 네, 그래서 이과가 순간이동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이동하지 않으면 됩니다. SF 속 ‘워프’ 기술이 바로 그런 방법입니다, 시공간을 왜곡해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줄이는 거죠.현재 가장 유명한 워프 이론은 ‘알큐비에레 드라이브’입니다. 물체 뒤쪽의 공간을 급속히 팽창시킴과 동시에 앞쪽 공간을 수축시켜 거리를 좁히겠다는 건데, 준비물이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