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몸통"(으)로 총 627건 검색되었습니다.
-
- [현장 취재] 로봇과 친해지는 특별한 경험! 연극 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달린 CCTV로 어린이들이 쓴 헬멧의 색을 인식해서 관객을 구분할 수 있답니다. 또한 몸통에는 압력 센서가 붙어 있어서 관객들이 로봇을 쓰다듬으면 이에 반응할 수도 있지요. 관객들은 연극이 진행되는 동안 에디를 도와 반짝반짝 빛나는 우주 광물을 줍고, 화면 앞에서 팔을 휘둘러서 바이러스를 ... ...
-
- 연필과 수학의 필연적 만남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만들었어요. 그러나 사각형 연필은 손에 쥐고 쓰기 불편했기 때문에 연필심은 둥글게, 몸통은 원이나 팔각형으로 만들기 시작했지요. 19세기에 연필을 주로 사용했던 공학자나 설계사, 목수들은 연필을 오래 쥐어도 손이 아프지 않으면서 책상이나 경사진 설계판에 놓아도 굴러 떨어지지 않는 ...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배꼽의 법칙’이라며 배꼽이 향하는 방향이 호감의 방향이라고 해석했다.배꼽은 ‘몸통의 뇌’라고 불릴 만큼 많은 역할을 한다. 그중에서도 배꼽의 법칙은 1930년대에 처음 등장했을 만큼 꽤 오랜 세월 동안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대화 중 배꼽이 향하는 방향이 한 사람의 관심의 정도와 행방을 ...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교수팀은 중국 랴오닝성 근처에서 발굴한 시노사우롭테릭스 화석을 관찰한 결과, 몸통에 있는 멜라닌 소포체는 길쭉한 막대 모양이며(길이 0.8~1μm, 너비 200~400nm), 꼬리에 있는 멜라닌 소포체는 타원형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길이 500~700nm, 너비 300~600nm). 연구팀은 이 공룡이 전체적으로 누런색이고, ...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준비한 뒤, 큰 도룡뇽에서 발달 과정 중인(자라고 있는) 다리를 떼어 내 작은 도룡뇽의 몸통에 이식했습니다. 자, 그럼 이식된 다리는 원래의 크기대로 자랐을까요, 아니면 작은 도룡뇽의 다리만큼만 자랐을까요? 눈치가 빠른 분들이라면 결과를 예상했겠죠. 이식된 다리는 다리를 이식 받은 작은 ... ...
-
- [과학뉴스] 조용히 수영하는 ‘뱀장어 로봇’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앨라스토머’ 소재로 만들었고, 전기를 공급한 곳만 구부러지도록 제작해 로봇이 몸통을 휘었다 펴기를 반복하면서 헤엄친다. 속도는 초당 약 1.9mm다. 마이클 톨리 UC샌디에이고 기계항공공학과 교수는 “실제 동물의 행동을 흉내 낸데다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해양생물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뒤 HMD와 장갑, 조끼, 총 등에 달린 센서의 위치좌표를 가상세계 속 캐릭터의 머리, 손, 몸통, 총의 위치좌표와 실시간으로 일대일대응시킨다는 뜻이에요. 이런 기술을 ‘모션 트래킹’이라고 불러요. 예를 들면 센서가 달린 장갑을 끼고 손을 움직이면 센서의 위치가 바뀌고, 컴퓨터가 위치 변화를 ...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얘기입니다. [두 번째 질문] 통제 불능 유전자, 암 전이 돕는다? 머리부터 꼬리까지, 몸통에서부터 팔다리의 말단까지 몸의 구조를 결정하는 혹스 유전자. 이들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는 또 있습니다. ‘HOTTIP’과 유사한 듯 다른 ‘HOTAIR’를 소개합니다. 초파리의 유전체에는 ...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코끼리의 몸통을 보지 못하고 있는 사람에게 다리와 꼬리를 잇는 몸통이 있다고 알려주는 데 비유할 수 있습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은 1801년 가우스가 증명한 이차 상호법칙, 그리고 20세기 초반에 이를 일반화 한 에밀 아르틴의 상호법칙을 더욱 일반화한 ‘상호법칙’을 ...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팔 다리싹(limb buds)’이라는 부분인데요. 인간 배아의 경우, 수정 후 약 4~5주가 지나면 몸통에서 팔다리가 생길 부분이 뭉툭하게 솟아오릅니다. 이 부분을 팔다리싹 이라고 부릅니다. 유전자 변형 기술을 이용해 쥐 배아의 팔다리 싹에서 Sox9 유전자를 제거하면 팔과 다리가 아예 자라지 못하게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