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통
d라이브러리
"
밀고
"(으)로 총 19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새로운 시도 착실한 기능향상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는 현대전자 공모전에 등록할 때 얼떨결에 지은 이름."당분간 공개소프트웨어로 계속
밀고
나갈 생각입니다. 프로그램의 완성도가 70%정도고 최근에 발표된 한글 2.0판에 비교하면 아직도 부족한 점이 많기 때문입니다."이 팀의 리더격인 김장중군의 말이다.미니인터뷰2윈도우용 통신프로그램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행사하지 않을까? 이 질문은 잘못된 것이다. 두 양성자는 전자기력으로 열심히 서로
밀고
있다. 하지만 훨씬 더 큰 힘이 두 양성자를 서로 멀어지지 못하게 꼭 잡고 있는 것이다. 그 힘이 바로 '위대한' 핵력, 즉 원자력인 것이다!뜨거웠던 우주의 태초(그림2)에서 우리는 핵력의 중요한 성질을 하나 ... ...
'건강 신발'로 불황탈출 묘책 내놓은 원인호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구제 하려면 농촌구제부터 해야겠다'는 것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마침 4.19의 격랑이
밀고
간 뒤는 학생 운동을 하던 사람들이 너도나도 농촌으로 들어가 계몽운동을 벌이던 시기. 그러나 원씨의 활동방향은 계몽보다는 농기구개선 등 영농과학화에 더 큰 관심을 둔 것이었다. 그가 기억하는 자신의 첫 ... ...
무정류자 모터 개발로 일어선「기술벤처」대표 정영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인력과 척력의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각각 N극과 S극을 띤 고정자와 회전자의
밀고
당김을 구동의 원리로 삼는다. 그런데 회전자가 계속해서 움직이려면 고정자의 극을 그와 반대되는 것으로 바꿔줘야 하는데 이때 외부로부터 전기유입이 필요하며 그 전달은 정류자(brush)를 통해 이뤄진다. 그러나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침묵'을 경험한 사람들은 신비주의자나 도덕론자들이 아니라 능력껏 자신들의 지성을
밀고
나갔던 사람들이었다. 비행기를 만들면서 역설적으로 새의 아름다움을 더욱 사랑할 수 있듯이 신경망 연구는 그 출발점에서 두뇌를 모델로 하면서 인간의 신비로움을 자각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도 있다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자리였다"는 것이 신교수의 얘기다. '위로부터의 통합'에 홍역치러80년대 중반 몇년간을
밀고
당기고 한 끝에 결정된 구 KAIST의 학사부 분리와 대덕 이전, 과기대와의 통합. 이 적잖은 변화의 과정에서 당사자였던 정부 관계부처나 구(舊) KAIST 학사부, 과학기술대의 교수 학생들은 조금씩 어긋나는 ... ...
α(알파)파와 θ(세타)파를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휴지통에 들어간 것을 알고 있었다든지 하는 것들이다. 또 신념을 가지고 끝까지
밀고
나가 크게 성공한 사람들이 "마음속으로만 열망하던 일이 뜻밖에 이루어져 재수가 좋았다"라고 말하는 것은 모두 자신의 초능력이 밝게 쓰여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한편 자신의 초능력을 어둡게 쓰는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는 비교적 가벼운 대륙판이 해양판 위에 놓이거나 두개의 가벼운 대륙판들이 서로
밀고
있기 때문이다. 변환단층은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는 곳이 아니고 단지 단층면을 경계로 판의 운동방향이 반대인 곳이다. 그 경계부는 지진은 발생하지만 화산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변환단층의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운영체제(OS)의 도입고뇌에 찬 결단의 시간이 다가왔다. IBM회장 왓슨은 원래대로
밀고
나가기로 했고, 1964년 4월7일 왓슨은 77개 언론사를 초청한 기자회견장에 나타났다. 드디어 IBM시스템/360의 베일이 벗겨지기 시작했다. 시스템/360시리즈라고 명명된 제품은 모두 6개의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196 ... ...
일찌감치 포기하려는 후배에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수학을 못하는 게 아니라 단지 자신이 없어서 겁을 내는거니까 자신을 가지고 용감하게
밀고
나가봐.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일찌감치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너도 할 수 있어.내일은 또 눈이 온대. 요즘은 건강도 실력에 들어간다더라. 항상 건강하고 내년 이맘땐 네가 승리의 미소를 지어야지. 널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