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균
세균
병원균
균류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독
d라이브러리
"
병균
"(으)로 총 183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때문에 허물어지게 될까?쓰레기를 땅속에 묻으면 쌓아놓는 것보다 눈에 잘 띄지도 않고
병균
문제도 적어지지만 쓰레기의 과잉문제는 지구상의 면적을 줄게 만든다. 사막이나 얼음판이나 바다나 산꼭대기 등 사람이 살지않는 곳에 쓰레기를 버린다고해도 해결책이 찾아지는 것은 아니다. 매우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1966)라는 영화도 아시모프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만든 것이다. 인체 내부에 있는 악성
병균
을 퇴치하기 위해 탐험대가 조그맣게 축소되어 인체 내부로 여행을 떠난다는 얘기는 당시 대단한 인기와 화제를 끌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아시모프는 1987년에 이 작품의 2부격인 '두뇌로의 여행'(Fantastic Voyage ... ...
수의학이 인간의 질병해명에 기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다른 질병으로부터 격리돼 있다. 그러나 인간은 자기가 앓고있는 병 이외에도 여러가지
병균
에 감염돼있을 가능성이 크다.인간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동물을 실험대상으로 하는 행위에 윤리적인 문제 제기도 없지 않다. 수의학자들은 이러한 문제에 민감하다. 그들은 자신들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일을 하거나 결과가 나오더라도 원래 나와야 하는 것과는 다른 결과가 나오도록 만든다.
병균
이 그러하듯 컴퓨터 바이러스도 나쁜 일만을 골라하기 때문에 더욱 문제가 된다.어떤 일을 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만들 경우에 이같은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일부러 만들어 넣을 사람은 없을 테니까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그냥 놔두고 집에서 약이나 바르곤 하는 데 혹시 잘못되면 큰 문제가 생긴다. 파상풍이란
병균
도 자랄 수 있고 염증이 발속에 생길 수 있으니 제대로 병원에서 치료하기 바란다.그리고 대개 경험했겠지만 발목을 쉽게 뻘 수 있다. 이는 발목 바깥쪽의 인대(힘줄)가 약하기 때문에 발을 헛디딘다거나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사용한 사람은 독일의 식물병리학자인 안톤 토 베이리였다(1879). 토 베이리는 보리 부패
병균
이나 지의류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데 그 연구를 하면서 공생현상에 강한 흥미를 갖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봐도 그가 내린 공생에 관한 정의가 가장 광범위하다. 그는 다른 생물과 함께 생활하는 현상 전부를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물질도 분비된다고 한다. 이것은 항체 역할을 담당, 각종 질병의 진행을 억제시켜 주고
병균
의 침입을 막고 살균해 주기 때문에 질병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자웻의 설명이다.셋째로 '앤티셉틴'(antiseptin)이라는 물질이 분비된다고 한다. 이것은 방부제의 구실을 함으로써 위장 내에서 음식물이 ... ...
중금속 오염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이상으로 중금속이 축적돼 있다고 하나 직업병이라고 할 수 없는 일종의 건강한 상태다.
병균
이 체내에 들어왔다고 해서 반드시 질병이 생기는 것이 아닌 것처럼 중금속 농도가 높다고 하여 모두 중금속 중독은 아닌 것이다.중금속 중독이 사회문제가 되면서 일부 근로자들이 과폭로를 이해하지 ... ...
PART4 우주개발의 메카 NASA, 그 영광의 궤적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될 것이다. 그속에는 인공중력에 의해 지구와 똑같은 생활환경이 조성될 것이며, 공해와
병균
이 없는 장수촌이 건설된다. 약 5만명 단위의 거주민들이 살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아마도 여기서 사는 사람의 평균수명은 적어도 1백50세는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 ...
유전공학 뜻밖의 재난가져올지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전염성이 강한 병원 미생물을 대상으로하여 실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다. 주로
병균
을 취급하게 되는 의학 연구실에서 실험자와 방문객의 부주의에 의해 일어나는 실제적인 위험인것.두번째는 아직까지 그 예가 보고된 적은 없지만, 근자에 와서 문제가 되기 시작한 것으로 유전공학적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