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제"(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붙으면 자신의 유전물질을 세포 안에 침투시킨 뒤 이를 복제해 자신과 같은 바이러스를 만들어내요. 이 과정에서 숙주 세포가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질병을 일으킨답니다. 음악, 영화, 게임, 사진은 물론 동영상과 친구와의 대화까지 우리는 평소 수많은 정보를 디지털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 백신을 만들죠. 그런데 바이러스는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하는 과정에서 돌연변이를 자주 일으켜요. 새로운 돌연변이가 생기면 그에 맞는 백신을 새로 만들어야 해요. 이전에 만들어놓은 백신은 사용할 수 없지요. 우리가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이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보냅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만족하지 못한 그는 남편의 외모와 목소리를 완벽하게 복제한 로봇을 만들어 함께 삽니다. 이렇게 보면 누군가와 연인이 되기 위해서는 우리와 비슷한 모습의 실물이 중요한 것처럼 보입니다. 과학동아 독자들도 AI와 사랑에 빠지기 위해서는 만질 수 있는 실물이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교과서 속 글과 그림으로 공부하고 혼자 공부할 때는 효소가 어떻게 움직이고 복제가 어떻게 일어 나는지 머릿속으로 그려봅니다. 만약 머릿속에 잘 안 그려 지면 관련 영상을 유튜브 등에서 찾아보면서 이해합니다. 학생 B 수업시간에 열심히 듣는 것이 기본입니다. 또한 개념에 대한 예시를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BIPM은 IPM의 복제품을 여러 개 만들어 세계 각 나라에 보급했는데, 우리나라에 도입된 복제품(No. 10c)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사용되다가 현재는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보관 중이다. 물리적 원리로 길이를 정의하다측정과학이 발전하면서 미터원기 역시 한계가 드러났다. 눈금선의 폭이 6 μm ... ...
- Part 3. 우주공장을 우주에서 짓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3등을 차지 했답니다. 이 교수팀은 실제 우주에서도 건설재료를 공급하기 쉽도록 달 복제토와 플라스틱을 활용한 3D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어요. 화산현무암을 70%, 재활용 플라스틱을 30% 섞었지요. 그리고 240℃ 이상으로 가열해 녹인 뒤 3D 프린트 했답니다. 재료에 물을 섞지 않아 프린트에서 나오자 ... ...
- [과학뉴스] 최초의 생명은 바로 지방?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모델을 만들었다.시뮬레이션 결과 지질 방울이 세포처럼 성장하거나 분열하면서 정보를 복제했다. 또한 이 중 몇몇 지질 방울은 돌연변이가 일어나면서 환경에 적응했다. 연구팀은 이런 지질 방울에 ‘컴포좀(composom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랜싯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통해 토성 위성 중 하나인 ...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합니다. 랭턴은 세계 최초로 단순한 몇 개의 규칙만으로 자기 복제뿐 아니라 창발성이 있는 ‘루프’를 만듭니다. ‘창발성’은 단순한 규칙을 적용하면 그 보다 더 복잡한 규칙이 자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인공생명의 토대라 할 수 있습니다. 생명의 진화 과정이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나무 판자가 모두 바뀌어도 여전히 같은 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구조로 복제돼요. 20년이 흘러도, 40년이 흘러도 우리가 같은 사람일 수 있는 건 바로 DNA의 복제 때문이지요. 따라서 만약 기준이 되는 유전물질이 달라지면, 우리는 다른 사람이 됐다고 할 수 있어요. 사람을 구성하고 구별하는 기준이 달라진 셈이니까요.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 이 질문은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염기와 비슷하게 생겼던지, 세포는 몸에서 만들어진 DNA 염기와 BrdU를 구분하지 못하고 DNA 복제 시 BrdU를 새 유전물질에 끼워 넣습니다. 따라서 세포를 BrdU에 잠시 노출시키면 세포를 BrdU로 표시하는 게 가능합니다. 표시를 충분히 한 뒤에는 BrdU 주입을 멈춥니다. 그 이후에 새롭게 만들어지는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