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빅"(으)로 총 5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로체험] 자산 관리 하는 AI 비서 만든다, 권영준 블루바이저 상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때문에 그동안 쌓은 SW 지식도 있었고요.Q.하는 일이 수학과 어떤 관계가 있나요?빅데이터, 기계학습, 통계 지식을 알아야 해요. 그런데 AI 분야의 이론은 현재 쓰는 동시에 한창 개발 중인 분야여서 연구자들이 여러 기술을 인터넷에 공개했어요. 수학의 기초 지식이 탄탄하면 전공하지 않아도 이해할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911~1912년 영국의 로버트 스콧이 이끄는 남극 원정대의 일원이었던 외과의사 조지 레빅이 아델리펭귄의 생활사를 기록했는데, 여기에 수컷끼리 짝짓기를 하는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당시에는 내용이 충격적이라는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고, 100년이 지난 2012년에야 비로소 대중에 공개됐다. 2019년 ... ...
- 가짜뉴스와의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오염수의 전파와 관련된 자료로 인용되고 있다. 가짜뉴스를 탐지할 방법은 없을까. 빅데이터와 AI를 통해 온라인에서 수백만 건의 글을 분석하면 정보가 전파된 시간적, 구조적, 언어적 특징을 추출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가짜뉴스를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짜뉴스는 네트워크상에서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가질 수 있다고 봅니다. 판단을 내림과 동시에 판단 결과에 대한 감정을 갖게 되는 거죠.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지금보다 발전하면 더 많은 정보로 더 많은 판단을 스스로 내리게 될 겁니다. 로봇이 언젠가는 인간을 지배할 수도 있을까요? 이인우: 로봇의 신체적 능력이나 계산 능력은 인간을 훨씬 ... ...
- 빅토리아● 혹등고래가 물기둥을 주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사냥으로 사라져 버렸어요. 고래 사냥은 1967년에야 금지되었죠. 그 덕분인지 1997년에 ‘빅 마마’라는 이름의 혹등고래가 세일리시해에 처음으로 돌아왔어요. 약 100년 만에 돌아온 것이죠. 지금은 매년 여름 약 400마리의 혹등고래가 이곳에서 머물다 10월이 되면 남쪽으로 내려간답니다. Q오늘 ... ...
- 똥으로 호랑이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차이점을 밝혀냈답니다. 그리고 2016년에는 표범의 유전자 지도까지 해독하면서 여러 빅 캣의 유전자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이는, 이른바 ‘유전자 마커’를 찾아냈지요. 유전자 마커를 이용하면 동물의 똥을 분석해 똥의 주인이 호랑이인지, 표범인지 등을 알아낼 수 있어요. 뿐만 아니라 호랑이 ... ...
- 수동의 크리스마스 교통지옥 돌파기, 빅데이터 히어로가 탄생하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제대로 활용하기 Part3. 꽉 막힌 도심에서 파티장에 도달하라!Part4. 우리 손으로 그리는 빅데이터 도시의 미래! 도움 김동규(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김이식(YISHAN LINKS 대표이사), 이준호(LH 스마트도시개발처 차장), 이형길(LH 스마트도시개발처 과장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평범한 방법으로는 결코 시간 안에 파티장에 갈 수 없는 수동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법을 고민한다. 그때 스위치가 켜지듯 도시의 온갖 데이터가 쏟 ... 강조했어요.여러분도 빅데이터 시대의 주민이 될 준비를 마치셨나요? 그럼 본격적으로 빅데이터 도시로 가보겠습니다. 슝슝~ ... ...
- 영웅의 탄생! 우리 손으로 그리는 빅데이터 도시의 미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보면 어느새 여러분의 등에도 커다란 빅데이터 망토가 달려있을 거예요. “띵동~.”빅데이터 히어로에서 다시 평범한 학생의 모습으로 돌아온 수동이 크리스마스 포장지처럼 빨개진 얼굴로 초인종을 누른다. 문 안쪽에서 지금 나간다는 태형의 목소리가 들린다. 쿵. 쿵. 쿵. 태형의 발소리가 ... ...
- [알고리듬 시그널] 흉가를 빨리 탈출하려면 이걸 알자! 알고리듬의 실행시간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두 알고리듬의 실행 시간이 O(n²)과 O(n!)이라면 당연히 O(n²)인 알고리듬을 골라야겠죠? 빅오 표기법은 최악의 경우에 대한 함수입니다. 그러니까 100중에 1이 답일 때 단순탐색으로 1번 만에 답을 찾았다고 실행 시간이 O(1)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어떤 알고리듬의 실행 시간은 항상 같으며, 어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