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삼각형"(으)로 총 1,1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잘하는 동물친구들] 거미줄로 뚝딱뚝딱, 집짓기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지어야 해요. 이때 가장 좋은 모양이 바로 ‘원’이에요. 예를 들어 12㎝의 거미줄로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원 모양의 집을 만든다면 원 모양의 넓이가 가장 크지요. 그래서 거미는 원 모양에 가까우면서 방사형인 형태의 집을 짓는 거랍니다. 비밀3. 내가 만든 거미줄에 걸린다고? 거미집의 ... ...
- [수콤달콤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규칙을 그림으로 재밌게 알아봐요! Part1. [수콤달콤 연구소] 과일가게에서 찾은 삼각형, 사각형 속 ‘도형수’Part2.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수콤달콤 과수원Part3.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도전! 귤을 가장 높이 쌓는 방법은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있어요.은하수를 어떻게 찾냐고요? 하늘을 올려다 보면. 가장 밝게 보이는 세 개의 별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을 거예요. 각각 거문고자리의 ‘베가’, 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 백조자리의 ‘데네브’죠. 이 중 베가와 알타이르는 우리나라에서 각각 직녀성과 견우성으로 불려요. 이 둘 사이에 ... ...
- [특집] 점이 만든 새로운 차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 위에서 내려다 본 점선면 마을의 집과 나무는 더 이상 납작하지 않았어요. 평평한 삼각형인 줄 알았던 지붕은 사실 5개의 면이 만나 만들어진 삼각기둥이었어요. 또한 집은 납작한 직사각형이 아니라, 6개의 면으로 이뤄진 직육면체였지요. 우리는 이처럼 입체로 만들어진 세상에 살고 있어요.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성냥개비 개수와 삼각형의 관계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본책30쪽과 함께 보세요! 계산식 규칙을 이용하면 복잡해보이는 문제의 답도 뚝딱 구할 수 있답니다. 계산식 규칙으로 성냥개비 문제를 해결해 봐요!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L5 라그랑주 점에 모여 있는 천체를 뜻한다. 두 라그랑주 점은 각각 태양, 목성과 함께 정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즉 태양과 목성을 이은 직선을 기준으로 대칭점에 위치한다. 지구를 출발해 두 지점을 모두 들르는 루시의 이동 궤적은 뒤틀린 8자 모양으로 나타난다. 루시는 발사하자마자 태양광 ... ...
- [특집] 우주 탐험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설명했어요. 또한 이 구조는 가장 경제적인 구조이기도 해요. 정다각형 중 정육각형이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에 비해 같은 재료로 가장 넓은 면적을 만들 수 있거든요. 조용승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명예교수는 “정육각형 거울을 이어 붙이면 동그란 거울과 달리 거울 사이의 틈이 생기지 않아 ... ...
- [수학체험실] 2시 24분 밖에 모르는 정오각형 시계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은 정오각형 중심의 360°를 5등분한 360°÷5=72°다. 5개의 이등변삼각형 중 72°를 이루는 두 변을 잘 골라 그위에 각각 시침과 분침을 놓으면 2시 24분을 나타내는 정확한 시계를 만들 수 있다. 왜 그럴까? 분침은 60분에 360°를 회전한다. 즉, 1분에 6°를 회전한다. 시침은 12시간 ...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풍력 발전기가 달린 건물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바레인의 수도 마나마에는 ‘바레인 세계 무역 센터’라는 빌딩이 있어요. 240m 높이의 삼각형 건물 두 개가 서로 이어진 형태죠.특이한 것은 이 두 건물 사이에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다는 거예요. 두 건물을 이어주는 세 개의 구름다리에 지름이 29m나 되는 거대한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어, ... ...
- [핫이슈] 수학계에 산타가 나타났다!? 70년 만에 풀린 등각선 문제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나타낼 수 있습니다. 2차원 등각선 문제의 답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정삼각형으로 나타납니다. 이처럼 그래프를 이용하면 상상하기 어려운 고차원에서의 직선과 그 각도를 비교적 간단한 수학적 구조로 나타낼 수 있지요. 이 방법을 이용해 낸 대표적인 결과가 1970년 영국 수학자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