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삼각형"(으)로 총 1,1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 연구소] 과일가게에서 찾은 삼각형, 사각형 속 ‘도형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수콤달콤 과일가게에 가을 열매가 가득해요. 빨갛게 익은 사과, 크고 시원한 배가 먹음직스러워요. 과일이 선반에 진열돼 있는 모습 속에도 규칙이 숨어있어요. 바로 ‘도형수’이지요. 맛있는 과일을 차곡차곡 쌓으며 도형수에 대해 알아봐요! ...
- [수학 잘하는 동물친구들] 거미줄로 뚝딱뚝딱, 집짓기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지어야 해요. 이때 가장 좋은 모양이 바로 ‘원’이에요. 예를 들어 12㎝의 거미줄로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원 모양의 집을 만든다면 원 모양의 넓이가 가장 크지요. 그래서 거미는 원 모양에 가까우면서 방사형인 형태의 집을 짓는 거랍니다. 비밀3. 내가 만든 거미줄에 걸린다고? 거미집의 ... ...
- [특집] 점이 만든 새로운 차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 위에서 내려다 본 점선면 마을의 집과 나무는 더 이상 납작하지 않았어요. 평평한 삼각형인 줄 알았던 지붕은 사실 5개의 면이 만나 만들어진 삼각기둥이었어요. 또한 집은 납작한 직사각형이 아니라, 6개의 면으로 이뤄진 직육면체였지요. 우리는 이처럼 입체로 만들어진 세상에 살고 있어요.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성냥개비 개수와 삼각형의 관계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본책30쪽과 함께 보세요! 계산식 규칙을 이용하면 복잡해보이는 문제의 답도 뚝딱 구할 수 있답니다. 계산식 규칙으로 성냥개비 문제를 해결해 봐요!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있어요.은하수를 어떻게 찾냐고요? 하늘을 올려다 보면. 가장 밝게 보이는 세 개의 별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을 거예요. 각각 거문고자리의 ‘베가’, 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 백조자리의 ‘데네브’죠. 이 중 베가와 알타이르는 우리나라에서 각각 직녀성과 견우성으로 불려요. 이 둘 사이에 ... ...
- [수학체험실] 2시 24분 밖에 모르는 정오각형 시계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은 정오각형 중심의 360°를 5등분한 360°÷5=72°다. 5개의 이등변삼각형 중 72°를 이루는 두 변을 잘 골라 그위에 각각 시침과 분침을 놓으면 2시 24분을 나타내는 정확한 시계를 만들 수 있다. 왜 그럴까? 분침은 60분에 360°를 회전한다. 즉, 1분에 6°를 회전한다. 시침은 12시간 ...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풍력 발전기가 달린 건물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바레인의 수도 마나마에는 ‘바레인 세계 무역 센터’라는 빌딩이 있어요. 240m 높이의 삼각형 건물 두 개가 서로 이어진 형태죠.특이한 것은 이 두 건물 사이에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다는 거예요. 두 건물을 이어주는 세 개의 구름다리에 지름이 29m나 되는 거대한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어,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L5 라그랑주 점에 모여 있는 천체를 뜻한다. 두 라그랑주 점은 각각 태양, 목성과 함께 정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즉 태양과 목성을 이은 직선을 기준으로 대칭점에 위치한다. 지구를 출발해 두 지점을 모두 들르는 루시의 이동 궤적은 뒤틀린 8자 모양으로 나타난다. 루시는 발사하자마자 태양광 ... ...
- [특집] 우주 탐험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설명했어요. 또한 이 구조는 가장 경제적인 구조이기도 해요. 정다각형 중 정육각형이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에 비해 같은 재료로 가장 넓은 면적을 만들 수 있거든요. 조용승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명예교수는 “정육각형 거울을 이어 붙이면 동그란 거울과 달리 거울 사이의 틈이 생기지 않아 ... ...
- [핫이슈] 수학계에 산타가 나타났다!? 70년 만에 풀린 등각선 문제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나타낼 수 있습니다. 2차원 등각선 문제의 답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정삼각형으로 나타납니다. 이처럼 그래프를 이용하면 상상하기 어려운 고차원에서의 직선과 그 각도를 비교적 간단한 수학적 구조로 나타낼 수 있지요. 이 방법을 이용해 낸 대표적인 결과가 1970년 영국 수학자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