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념
철학
사고방식
형이상학
인생관
d라이브러리
"
세계관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중화(中華)적
세계관
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충격은 중국이 세계의 중심일 수 없다는 사실이었다.조선학자들의 중화적(中華的)
세계관
은 이 1602년의 마테오 리치 세계지도에 의해 크게 흔들리게 되었다. 실제로 조선 중기 실학자들의 서양에 대한 지적 호기심과 새로운 문물 도입에의 정열은 이 지도를 보면서 시작되었다. 중국에 와서 활동하던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그리고 이상의 땅에서 자란 거대한 나무들로 세상이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하는 소박한
세계관
이 상징적으로 나타나 있다.환상의 세계를 담은 천하도가 지금도 우리의 관심속에서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튼 서양의 중세에 그렇게 흔했던 수레바퀴지도가 사라진 17~18세기에 유독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학자들은 시야를 넓혀 세계지도를 제작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한계가 있었다. 중화적
세계관
에서 벗어날 수 있을만큼 서유럽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15세기초 서유럽의 지적 수준은 조선학자들이 주목할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1400년 무렵의 서유럽은 문명사에서 ... ...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모아져 있는 것이다.그러나 여기에는 간과할 수 없는 보다 근본적인 철학적 견해의 대립 (
세계관
의 대립 )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노출돼 왔던 것이다. 그 하나는 존재론적인 문제와 관련된 것. 인간과 독립해 인간의 의지와 무관하게 ... ...
신은 주사위놀이를 좋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알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그러나 양자론이란 새로운 이론체계는 고전적인(뉴턴적인)
세계관
을 완전히 깨버렸다. 모든 일이 미리 확정된 운명적인 길을 걷는 것이 아니고 확률만이 주어질 뿐이라고 본 것이다. 한마디로 더 열려진 생각을 우리에게 심어준 셈이다.저 유명한 아인슈타인은 자신이 ... ...
동양최초로 지전설(地轉説) 주장한 홍대용(洪大容)의 독창적 우주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자연의 체계적인 질서를 알고자 하는 작업이라고 정의한다면 반드시 서양 중심의
세계관
만 옳다고 할 수 있겠는가? 우리의 선조인 홍대용의 우주관도 당시의 틀 안에서 해석하면 얼마나 이치에 타당하며 자연의 질서를 잘 대변하고 있는가 ... ...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느끼고 존중할 수 있게 하는 원천이기 때문일 것이다.지구과학을 학습하는 것은 올바른
세계관
과 자연관, 인간다운 삶의 방법을 깨닫게 하는데 일조할 것임을 의심하지 않는다.우리나라에서도 지금까지 과학교육의 여러 문제점들이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주로 학교의 실정을 잘 모르거나, ... ...
과학기술대 첫 졸업생들의 얘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과학기술의 문제점이라든가 핵문제 공해문제 등을 주요 주제로 하여 과학적
세계관
을 갖추려고 노력했습니다. 전공공부하다 사회과학서적을 읽으면 헛갈리는 때도 있고 실제로 학사경고도 한차례 맞은 적이 있지만, '아무리 과학기술자운동을 하고 싶어도 과학기술자가 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는 ... ...
교사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뽑은 마지막 칼이었다.우주에는 중심이 없으며, 수많은 별이 모두 태양과 같다는 복수
세계관
을 주장하면서 끝까지 자기의 생각을 굽히지 않아 결국 화형을 당한 브루노(Giordano Bruno, 1548-1600)의 죽음은 또한 우리에게 무엇을 가리키고 있는가 ... ...
기이한 거인상과 암벽화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인류의 역사속에 말이 등장한 것은 획기적 사건이었다. 그 힘과 속도가 거리를 좁히고
세계관
까지 바꾸어 놓았다. 이쯤되면 말이 수호신의 상징이 됨직도 하다.배도 마찬가지다. 부족을 지켜주는 수호신을 태우고 간다는 신앙의식과 감정외에 해상의 말로 생각했던 것 같다.들판에 새긴 거대한 ... ...
이전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