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양안경
안경
d라이브러리
"
쌍안경
"(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왕성과 해왕성, 사수자리주변 배회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어둡고 작지만 귀여운 별자리가 하나 있는데 돌고래자리가 바로 그것이다. 신기한 것은
쌍안경
으로 이 별자리를 보면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이 모두 두개로 보인다. 광학적 이중성들이다 ... ...
이중성알비레오, 환상적자태자랑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함께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산개성단인 프레세페(M44) 바로 위를 통과하게 된다.
쌍안경
을 이용하여 관측하면 산개성단과 어우러진 금성의 모습이 마치 난장이 나라에 나타난 걸리버처럼 느껴질지도 모른다. 표준렌즈나 2백mm 정도의 망원렌즈를 가지고 촬영하면 아름다운 사진이 될 것이다. 12일에는 ... ...
남쪽 밤하늘 황도 12궁이 지배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물병자리다. 토성의 밝기는 정확히 1등급이고 시직경은 17초 정도이다. 50㎜ 정도의
쌍안경
으로도 토성의 고리를 볼 수 있다.남쪽의 밤하늘화려한 겨울철의 1등성들이 서쪽 지평선 너머로 지고 있고, 여름의 별자리들은 이제 겨우 동쪽 지평선 위로 머리만을 내민 상태라, 초저녁의 남쪽 밤하늘은 ... ...
아크투루스가 주도하는 봄의 대곡선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지나가는 이 소행성은 6월 달 움직임의 방향을 바꾸어 다시 이 두별 사이를 지난간다.
쌍안경
이상의 망원경으로 위의 두별 사이에 위치하는 별들을 5일 정도의 간격으로 기록하거나 사진을 찍어 비교해 보면 움직이는 천체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주노이다.■ 거문고자리 카파 유성군 ... ...
3월 국내 첫 아마추어 천문대 오픈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못하고 있다. 진천 천문대에서는 초보자들에게 천체 관측의 기초지식을 제공하고
쌍안경
과 망원경의 종류에 따른 실제 관측 방법을 설명해줄 계획이다.초보자들은 15명 단위의 단체 참가가 원칙이나 개별적인 신청도 가능하다. 특히 중고생들은 지도교사의 동참을 전제로 한다. 참가비는 중고생인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2.4등급이나 되므로 달을 제외하면 이때의 시각에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천체가 된다.작은
쌍안경
만으로도 이 거대 행성의 4대 위성을 관측할 수 있고, 80mm 이상의 굴절망원경이라면 표면 줄무늬와 남적도대에 위치하는 대적반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달 3일과 30일에는 각각 월령 20.5와 17.8의 ... ...
서해안철새도래지 보호관리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등이 1만6천마리 정도. 달리던 버스 속도를 줄이고 선생님들은
쌍안경
을 들고 열심히 이들을 관찰. 통일전망대 부근의 철새들이 이 지역으로 내려와 있는 것 같다는 게 구태회 교수의 해석이다.우리나라의 대표적 겨울철새인 오리는 수면근방에서 먹이를 해결하는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떨어져 있어 맨눈으로 관측이 가능한 이중성이다. 여기에 목성이 가까이 위치하게 되면
쌍안경
관측시 목성의 4대 위성이 한 시야에서 나타나게 된다.목성은 태양계내의 행성들중 가장 크지만 초보자가 보는 목성의 표면은 그리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계속적인 관측을 통하여 숙련자가 되어야만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2천4백km가 되는 것도 있으며, 폭은 10-50km 정도다(사진2). 달 표면은 작은 망원경이나
쌍안경
을 이용해도 잘 관측된다. 만월을 피해 달을 망원경으로 관측하면서 밝고 어두운 부분, 크레이터의 분포와 모습, 백조 등을 스케치해 보자(그림4). 달은 월령과 스케치한 자료를 이용해 월면도를 참고해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이 별이 4.3등급으로 육안 관측이 가능한 별이지만 달 때문에 맨눈으로는 보기 힘들다.
쌍안경
이상의 관측 장비를 동원해야만 관측이 가능하다.성식의 관측 기록은 별이 달 속으로 사라지는 정확한 시각과 달로부터 빠져 나오는 시각, 그리고 별이 들어가는 달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는 것이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