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엄정
정확
비밀
기밀
정밀
d라이브러리
"
엄밀
"(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교수가 책에서 가장 많은 페이지를 할애한 5강이 바로 칸트에 대한 장이다. 사실 칸트의
엄밀
한 논증을 따라가지 않더라도 ‘동기가 결과보다 중요하다’는 명제에는 많은 사람들이 동감한다. 퀴즈에 탈락한 아이가 오히려 퀴즈 영웅이 된 것도 결과보다 동기에 충실했던 아이의 마음이 높이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일상적으로 쓰기에는 너무 엄격하고 경직돼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이런
엄밀
함은 무한한 자유와 결합돼 있다”며 자신의 접근법을 설명했다.톰슨의 주장은 그 뒤 주류 생물학계에서 무시돼왔지만 1983년 초파리에서 ‘호메오박스(homeobox)’가 발견되면서 화려하게 부활했다. ... ...
빙빙 돌며 중력과 싸우는 인공위성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통신 위성은 정지궤도에 있다. 로켓을 타고 드넓은 우주로 올라간 인공위성은 모두
엄밀
하게 계산한 위치와 속도를 바탕으로 제자리를 찾는다. 로켓이 우주로 올라가는 길을 닦을 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이 안정된 궤도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본적인 학문이 바로 수학이다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유명한 마술사였던 제임스 랜디와 함께 회의주의 운동을 주창했다. 과학에서 회의주의란
엄밀
한 과정으로 명제를 증명하고 충분한 근거 없이는 어떤 믿음도 받아들이지 않는 자세를 말한다. 그래서 과학적 회의론자는 상식에서 벗어나거나 양립할 수 없는 이론에 회의적인 자세를 취하고 이를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때문에 유권자와 비례후보 간의 연결고리가 약하다. 게다가 수학적으로 완벽하지 않다.
엄밀
하게 유권자수에 비례하도록 의석수를 할당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이상적인 선거방식은 없는 걸까. 1972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케네스 애로우 박사가 내놓은 방법이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전복이 숨이 막혀 바위에서 떨어지면 알맹이를 빼 먹는다.※ 편집자 주: 물고기는
엄밀
하게 말하면 아가미를 갖고 물에서 사는 척추동물(어류)이지만, 연재 ‘밥상에 오른 물고기’에서는 전복(연체동물), 꽃게(갑각류)처럼 밥상에서 만날 수 있는, 물에 사는 동물도 다룬다. ◀ 전복 주산지인 전남 ... ...
안정한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비친 것처럼 완전히 똑같은 모양으로 마주 놓여 있는 관계를 뜻한다. 대칭의 정의를
엄밀
하게 적용하면 사실 앞에서 다룬 문장은 대칭이 아니다. 읽을 때 같은 음이 난다는 점에서 대칭적인 문장일 뿐이다. 하지만 한글에는 완전한 대칭을 이루는 단어가 있다.'무용ㅣ용무'는 두 단어의 가운데에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들어온 용어나 사고체계의 틀로 세상만물을 바라본다”며 “과학기사에서 정확성과
엄밀
함, 그리고 다양한 시선을 담아야 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지적한다.이런 목표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사이언스온’이 넘어서야 할 벽은 있다. 무엇보다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생존기반인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도쿄대 스스무 다치 교수팀이 투명망토(사진)를 내놓았다고 말이다. 하지만 이 망토는
엄밀
하게 말하면 진정한 투명망토라고 할 수 없다. 다치 교수팀의 투명망토는 사실 눈속임이다. 연구진은 투명망토를 입은 사람이 사라진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미리 사람 뒤의 배경을 카메라로 촬영했다.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수학자들이 성공적으로
엄밀
하게 다룰 수 있게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였다. 수학적으로
엄밀
하지 않으면에 x=1을 넣어서이라고 계산한 뒤 기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밑변과 높이가 같은 두 삼각형은 넓이가 같다’는 명제를 생각해보자. 삼각형은 항상 조각내서 밑변과 높이가 같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