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자고등학교
d라이브러리
"
여고
"(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 달콤한 솜사탕 내 손으로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보기만 해도 푸짐한 느낌을 주는 솜사탕. 그러나 동네 가게에서는 팔지 않죠. 야외에 나가야 사먹을 수 있는 솜사탕을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어봅시다.따뜻한 봄날. 들로 산으로 놀러 다니기 딱 좋은 날씨죠. 가족과 함께 놀이동산 같은 곳에 많이 가게 될 거예요. 놀이동산에 가면 신기한 구경거리 ... ...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측면이 강한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심사 결과 1등상을 받은 김경미양(영등포
여고
2년)은 상품으로 쌍안경을 받으면서 "평소 천문에 관한 관심이 많았는데, 실습을 통해 기초지식을 배우고 관측도구까지 받았으니 앞으로 꼭 아마추어전문가가 되겠다"고 결심을 밝혔다.이외에도 인천에서 온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대구 경북사대부고)최선철(서울 여의도고)한병길(경기 경기과학고)허왕호(충북 청주
여고
)지도교수 및 인솔진행자이창복(서울대 명예교수)배희병(서울 강동교육청 장학사)조석근(동아문화센터 문화기획부 차장)김용현(한국자생식물연구회 회장) 제15회 전국과학교사 자연생태계 탐사가 지난 8월 ... ...
한반도에서 시조새 화석 발견됐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9년 9월 쥐라기보다 훨씬 후인 백악기 지층에서의 새 발자국 화석을 들 수 있다. 당시 마산
여고
지학교사였던 허찬구 선생이 발견한 이 화석은 당시 서울대 교수로 있던 필자가 연구, '한국 함안의 새'라는 뜻이 담긴 학명 Koreanaormis hamanensis Kim이라 명명한 바 있다.북한에서 조선 시조새가 발견됐으니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생물계열로 나누어 연구하고 있다." 이 모임의 대표를 맡고있는 서만석 교사(서울 경기
여고
, 지구과학)의 말이다.이 모임에서는 연구성과를 모아 '빛' '생각하는 지구과학' 등 단행본을 펴내기도 했으며 팜플렛 형태의 보고서로도 정리해놓고 있다. 이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서인호 교사는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하기로 한 송순창 회장이 새와 인연을 맺은 것은 우연한 계기에서 비롯됐다. 그는 이화
여고
교사(독일어)로 있을 때 한 학부형으로부터 금화조 한 쌍을 선물로 받고 새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내게 새가 없었으면 자살했을 것입니다. 인생에서 위기를 맞아 방황할 때 새는 내게 그 기간을 ... ...
청소년상담 통신망 등대BBS 운영하는 현직교사 서영창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전자게시판)를 차려놓고 컴퓨터통신으로 청소년 고민상담을 하는 서영창교사(40, 중앙
여고
)는 "컴퓨터에 빠져있는 청소년일수록 자신에 대한 고민이 많은 법"이라고 강조한다. 대개 공부는 잘 하지만 개인적이고 내성적이어서 주위에 털어놓기 어려운 고민을 간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BBS란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수월한 편이다.공학분야에서도 여성의 진출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공업계
여고
가 이미 설립 인가를 받은 상태이고, 여대 안에 공과대학의 설치가 거론될 만큼 여성들의 공대기피증은 이제 옛말이 되었다. 여성 공학사의 경우 81년에는 전국적으로 1백99명을 배출하는 데 그쳤으나 90년에는 7 ... ...
자연의 순리대로 사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 들지 않니?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줄 모르는 지구의 운동은 우리를 또 다시 한 해의 시발점으로 옮겨 놓았다. 인문
여고
거기서도 문과생인 너희들과 지겹고 골치 아프다는 화학을 공부한 지도 벌써 여러 해를 넘겼구나.누리야!너 기억하겠니? 너희들이 그렇게도 싫다던 화학수업에서 나는 이런 점을 강조했지. 화학을 배움으로써 ... ...
교사 스스로 수업형태 개선해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무대와 배우는 바뀌었는지 모르지만 수업의 형태는 40년전 형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내가 중·고등학교를 다니던 1950년대, 지구과학교사를 처음 시작했던 70년대 그리고 90년대 초반인 현재는 시간적으로 20년씩의 간격이 있다. 하지만 40년의 세월이 흘렀음에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