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원회"(으)로 총 1,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법 같은 효과에 숨은 부작용, 식욕억제제과학동아 l2021년 12호
- anorexia)을 결합한 신조어)’의 욕망을 채우는 수단이 되고 있다. 남인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식약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식욕억제제를 처방 받은 전체 환자 가운데 91.7%는 여성이었다. 이는 남성의 비만률이 여성보다 높은 현실과 배치된다. 보건복지부의 ... ...
- [과동키즈] 모두가 함께할 지구를 위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이슈에 대한 외부활동을 가능한 많이 하는 것이었다. 시작은 유엔환경계획(UNEP) 한국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전국 대학생 환경 동아리 ‘유넵엔젤(UNEP Angel)’ 활동이었다. 이후 외교부에서 추진했던 ‘녹색성장 서포터즈 1기’ 활동을 하고,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두고 있는 유네스코(UNESCO) 본부 수자원 ... ...
- 누리호│기적의 성공, 작은 아쉬움 “내년 5월 완벽에 재도전”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제기되고 있습니다. 최환석 항우연 부원장은 “11월 12일 내부적으로 비정상 상황 조사위원회를 꾸려 3단 산화제 탱크의 압력이 낮아지게 한 원인을 추렸다”며 “원격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각 항목을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누리호, 성공까지 46초 남았다 누리호의 도전은 이번으로 끝이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궤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띄울 차세대 우주망원경을 만들기로 논의했다. 1996년 STScI 위원회는 적외선을 관찰할 수 있는 훨씬 더 큰 망원경을 설계하자고 제안했고, NASA는 기술과 예산 확보에 돌입했다. 그렇게 HST의 후계자 우주망원경 개발 계획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1. 발사 임박 ‘제임스웹’ │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잠수함을 검증한 기술로 전기선박에 도전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환경 규제가 점점 늘어날 것입니다.”실제로 지난 6월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양환경보호위원회는 기존 선박의 에너지효율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선박탄소집약도지수)을 규제하는 등급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기존 선박은 2019년에 비해 선박탄소집약도지수를 2020~2022년에는 매년 1%씩, 2023~2026년에는 ... ...
- [SF소설] 대합창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많이 하지 말자니까. 방역수칙 지켜야지.”“연구 중단된 게, 연구소장님이 장관 산하 위원회에서 발표를 잘못하셔서 그런 거 아니에요?”“발표는 잘하셨대. 부소장님도 따라가셨고.”연구실로 돌아와서도 김 박사는 미련을 버리지 못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장 김 박사가 해야 할 일이 R426 전파 ... ...
- 일상 회복은 백신+마스크와 함께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앞두고 방역체계 전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민관합동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출범했다. 경제, 사회문화, 방역, 의료 등 각 분야별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도 밝혔다. 정부는 높은 백신 접종 완료율을 기반으로 일상회복을 추진 중인 영국, 이스라엘, 독일, ... ...
- [기획] 키메라 연구, 장기이식의 희망이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건국대학교 인간화돼지연구센터 김진회 교수팀이 이끄는 이 연구는 2019년에 학내 윤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했답니다. 서울대학교 바이오이종장기사업단은 돼지의 췌도●와 각막을 영장류인 원숭이에 이식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국제 기준을 통과했다. 연구팀은 이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임상 ... ...
- [기획]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키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이후의 연구를 금지하자는 약속이에요. 14일 규정은 1979년 미국 보건복지부 윤리 자문위원회에서 처음 제시된 뒤, 전 세계 연구자들이 따르는 기준이 되었지요. 이후 2016년 영국의 과학자들이 사람 배아를 최초로 14일 이상 배양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지만 규정에 따라 실험을 중단하는 일이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1995년 오존층 파괴 과정을 밝힌 연구자들뿐이었다. 노벨 지구과학상은 없지만, 노벨위원회를 비롯한 전 세계 많은 과학자가 지구과학 분야의 중요성을 인정해 준 게 아닌가 싶다. 이를 계기로 많은 사람이 지구과학, 그중에서도 기후과학 연구에 관심을 갖길 바란다. ※ 필자소개박종연. 서울대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