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d라이브러리
"
인공적임
"(으)로 총 718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자판기에 100원짜리 동전을 넣었더니, 유명 바리스타의 최고급 커피가 나왔다.”최근 세계적으로 화제인 스‘ 탭(STAP, 자극촉발만능)줄기세포’ 연구 결과를 보고 이런 생각이 들었다. 필자도 줄기세포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했지만 이번만큼 단순한 방법으로 놀라운 결과를 낸 연구는 드물었 ... ...
동작 그만! 인산염 뺐다고 꼼수 부리냐?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사람들은 먹는 문제에 예민합니다. 몸에 나쁜 음식이라고 하면 대개 피하려고들 합니다. 물론 한밤중에 ‘치맥’의 유혹에 굴복해 정신을 잃고 폭풍흡입하는 일도 벌어지곤 하지만, 그러면서도 은근히 건강에 대해서는 신경 쓰게 됩니다.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나쁜 음식에 특히 예민할 수밖에 없 ... ...
INTRO.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여행 떠나자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극도의 추위나 가뭄은 자연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에서 밝힌 말이다. 인간을 필두로 포유류가 지구를 지배하게 된 데는 거대한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선택이 있었다. 그때 혁혁한 공을 세운 것이 바로 겨울잠이다.인류의 몸속에는 아직도 그날의 영광을 잊지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개구리도 다람쥐도 따뜻한 봄을 기약하며 깊은 잠에 빠져드는 이 추운 겨울, 왜 사람만 유독 손발을 오들오들 떨면서 바쁘게 일해야 할까. 사람도 개구리랑 다람쥐랑 함께 겨울잠을 자다가 따뜻한 봄바람이 불 때쯤 일어나면 안 될까. 문득 한 가지 의문이 든다. 겨울잠을 못 자는 걸까 안 자는 걸까.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빈 둥지.초겨울 특유의 스산한 기운이 감돌던 지난해 12월 2일 오후, 대전 문지동에 위치한 카이스트(KAIST) 문지캠퍼스를 찾았다. 이곳 한 켠에 마련된 국가핵융합연구소 이터(ITER)한국사업단의 초전도연구개발동을 찾았을 때, 문득 ‘빈 둥지’라는 말이 떠올랐다. 한때 이곳은 핵융합 발전의 핵심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잘 알려져 있지는 않은 사실 하나. 주유소에 가면 승합차나 화물차에 주로 넣는 디젤(경유) 연료는 정말 100% 원유만을 정제해서 만든 것일까? 아니다. 대부분의 주유소는 2006년 이후 5% 씩의 ‘바이오디젤’을 순수 디젤에 섞어서 팔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폐식용유나 쌀겨 기름 등, 순 식물성 오일을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천신만고 끝에 세계지도를 그리는 데 성공한 대항해시대의 지도 제작자와 탐험가들은 이제 완성된 지도를 바탕으로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세계를 탐험할 수 있게 됐다. 뇌공학자들은 뇌지도가 비슷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뇌의 신비를 손에 넣은 인류는 스스로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천연두는 대포보다 강력하다인간이 생물무기를 쓰기 시작한 건 무려 기원전 6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원시적인 방법이지만 병자의 분뇨로 적의 우물을 오염시키고, 또 창과 화살에 발라 썼다. 1346년 중앙아시아 의 타타르군은 카파(현 우크라이나의 페오도시야. 당시에는 제노바의 지배를 받았다 ... ...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무지개가 풀어 헤쳐졌다’17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무지개는 예술가와 철학자의 로망이었다. 그러나 그 환상은 영국이 낳은 천재 과학자 뉴턴에 의해 산산조각났다. 뉴턴은 좁은 틈으로 들어오는 빛을 간단한 실험도구인 삼각 분광기를 이용해 ‘쪼개’는 단순한 방법으로 무지개를 한갓 빛의 장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명함은 절대로 줄어들지 않는다. 명함을 정리하고 솎아내는 게 내일이건만 줄어들기는커녕 꾸준히 늘어난다.고향 항성계에서는 명함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다. 언뜻 생각하면 이상한 일이다. 명함이란 단어의 뜻을 조금만 헤쳐보자. 그 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름이다.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