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근"(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리 탐방] 대전제일고 M.S.G수학동아 l2018년 03호
- 행사 기획과 운영이다. 매년 봄 열리는 교내 수학체험전이 그 시작을 알리는 활동이다. 인근 지역 초중고 학생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행사를 기획하고 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어떤 체험을 할지까지 정해야 하기 때문에 네다섯 명씩 조를 짜서 아이디어 회의를 하고 체험할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4500회 이상 발생했다. 특히 2016년 8월 24일 이탈리아 중부 아마트리체 지역 인근에서 규모 6.2의 대형 지진이 발생해 299명이 사망했다.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탈리아는 히말라야 산맥처럼 두 개의 대륙지각이 만나는 조산대에 위치해 있다”며 “지각이 두껍고 일년 내내 눈에 ... ...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용천수에서 물이 솟아나는 현상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최근에는 포항 지진 이후 인근 논과 밭에서 진흙이나 모래 흙탕물이 늪처럼 분출된 액상화 현상이 수십 개나 발견되면서 땅속 물질의 분출 현상에 관심이 높아졌다. 이런 현상은 지구상에서 널리 발견되는 지질 현상으로, 지각물질의 순환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조상에 대한 게놈 연구’에 따르면, 한국 개의 유전적 다양성은 유럽 개는 물론이고, 인근 아시아 지역의 개들보다 높았습니다. 단적으로 흰 털을 가진 천연기념물 경주개 동경이는 진돗개, 풍산개와는 완전히 다른 유전자 구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doi: 10.1371/journal.pone.0188676 그러나 한국 전통개의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놀라움과 존중을 배웠으면 좋겠다”고 말했어요. 한편, 숙소인 국립생태원 교육생활관 인근에서는 ‘여름밤의 노래곤충’이란 주제로 야간 곤충 탐사도 이루어졌어요. 대원들은 장이권 교수와 함께 여치와 사슴벌레, 장수하늘소 등을 관찰하는 시간을 가졌지요. 장이권 교수는 “귀뚜라미의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전달돼 피해를 키운 셈이다. 외곽에서 발생한 경주 지진과 달리 주택이 밀집한 흥해읍 인근에서 발생한 것도 포항 지진의 피해를 키웠다. 지질연은 지진파 분석 결과 흥해읍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퇴적층이 분포하고 있어 지진에너지 감쇠 효과가 덜했다는 점도 피해 요인으로 지목했다.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2차 피해가 있다. 포탄이 폭발할 때 생긴 엄청난 에너지가 만드는 충격파다. 이 충격파는 인근의 사람과 장비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탱크는 멀쩡해도 안에 타고 있는 사람이 목숨을 잃을 수 있다는 얘기다. 플라스마 보호막은 이런 충격파를 완화시킨다. 원리는 간단하다. 고에너지 레이저로 폭발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강에서 30초도 안 돼 물탱크로 빨아올려요. 이 헬기 3대를 비롯한 총 175대의 헬기가 인근 강에서 물을 퍼담아 산불 지역에 뿌리기를 계속해서 반복했답니다.◀ 산불을 진화할 때는 잔불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에 완전히 진화된 것으로 봤던 강릉 산불도 잔불이 강풍에 날리면서 몇 ...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가지면서도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닌 천체를 말한다. 행성과의 차이점은 공전 궤도 인근에 다른 천체들을 흡수하거나 튕겨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로 명왕성이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강등됐다. 연구팀은 유럽 지역의 관측소 10곳에서 망원경 12대로 하우메아를 관찰한 결과 반지름 약 2287km,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핵실험을 예로 들었다. 규모 7.0의 인공지진을 일으킬 정도로 큰 핵실험이었지만 인근 해저에 있는 화산 중 어느 것도 분화하지 않았다. 그는 “핵실험이 화산 분화를 일으킬지 모른다는 걱정보다는, 함몰지진을 야기한 핵무기 자체가 더 걱정스러운 문제”라고 말했다. “자연 분화는 언제든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