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도네시아"(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발리에서 생긴 일 세계 청소년, 수학을 즐기다!수학동아 l2011년 09호
- 기사에 등장하는 *축제는 7월 18일부터 23일까지 5박 6일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국제수학경시대회 2011’ 을 말합니다. 모든 일정을 동행 취재한 기자가 겪었던 에피소드를 엮어 기사를 구성했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발리에서 생긴 일 세계 청소년, 수학을 즐기다 ... ...
- PART 3. 수학은 집중이다!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미국을 비롯한 교육 선진국으로 불리는 나라들의 잘된 제도도 부분적으로 흡수했다. 인도네시아의 초등 교육은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6년 과정인데, 상위 10% 정도의 학생들에게 조기 졸업(5년 과정)을 적극 권장한다. 가장 특이한 점은 우리나라에서도 인문계와 실업계로 나눠 교육하는 것처럼 중학교 ...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될 책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주목해야 할 ‘천재지변’에는 어떤 게 있을까. 2004년 12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을 강타했던 쓰나미, 2005년 8월 미국 뉴올리언스에 상륙했던 허리케인 카트리나를 비롯해 태풍, 화산, 지진, 쓰나미, 지구 온난화 등 인류에 큰 피해를 일으켰던 대표적인 자연재해 1 ...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화산이 분화한 줄 몰랐어요. 갑자기 지구에 무슨 일이라도 생긴 걸까요? 게다가 러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는 불과 이틀 사이에 화산이 폭발하다니…. 마치 한 화산이 분화하면 다른 화산도 덩달아 분화하는 것 같아 보여요. 화산은 서로 연결돼 있는 건가요?(헉! 빨리 백두산을 찾아 떠나야 하는데…, ...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변환 단층 경계에서 생긴다. 규모가 큰 지진은 대부분 수렴 경계에서 발생한다. 2004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규모 9.2), 1960년과 2010년 칠레 지진(규모 9.5, 규모8.8), 올해 일본 지진(규모 9.0) 등이 좋은 예다.암석의 강도와 축적된 응력의 양을 알면 지진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 ...
- PART 4. 전자계산기 도입에 관한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위를 한 홍콩은 조사에서 50~70%의 학생이 전자계산기를 활용한다고 응답했다. 인도네시아처럼 전자계산기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 나라도 10% 이상의 학생이 전자계산기를 활용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전자계산기가 수학실력을 올려준다고??PART 1.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동해 연안은 갯벌 진흙이 섞여 시커멓게 보였다. 참고로 2004년에 지진해일 피해를 입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은 해변이 하얀 모래사장이라 지진해일 파도도 하얬다.사실 지진해일로 유입된 부유물질은 피해를 키우는 주요 원인이다. 이 수석연구원은 “지진해일과 함께 엄청나게 많은 양의 ... ...
- 우울증, 거식증도 미국이 팔았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이 현상을 설명했다. 정신질환은 다양한 문화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가령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사소한 사회적 모욕에도 장기간 원한을 품는 ‘아모크’란 정신착란에 걸리고, 중동에서는 일종의 빙의 현상인 ‘자르’가 널리퍼져 있다. 탄자니아 자치령인 잔지바르의 정신분열증도 미국과는 ...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화성의 노을이 푸른색이랍니다. 잠깐! 대기의 먼지에 따라 다른 태양과 노을의 색1883년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타우 화산이 폭발하고 나서 태양이 유난히 붉게 보이고, 노을은 오렌지색을 띠었다고 해요. 이는 화산이 폭발하면서 대기 중에 미세한 화산재가 많이 퍼져 빛의 산란 형태가 바뀌었기 ...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북경인’이 ‘피테칸트로푸스 페키넨시스’라는 종으로 발표되었다가 인도네시아 자바의 ‘자바인’과 함께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로 통합된 뒤, 피테칸트로푸스가 호모 속으로 다시 통합되면서 ‘호모 에렉투스’로 이름이 변한 예가 있다. 이런 예를 보면 앞으로 수많은 호모 속 인류가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