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동"(으)로 총 2,3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와 함께하는 독서활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도와줘! 미션 1 자동마비공은 어떻게 튕겨 나갔을까? 빠른 속도로 이리저리 벽에 튕기는 자동마비공에 파헤칭단도 맞고, 해롱 호 선장과 루띠도 맞았어. 벽에 부딪힌 공은 어떻게 튕겨 나올까? 잘 튀는 공을 가지고 야외로 나가 봐! 평평한 벽, 둥근 벽 등에 여러 각도로 공을 던져서 어떻게 튀는지 ... ...
- 자율주행의 또 다른 눈│최선욱 네이버랩스 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또는 자동으로 차선, 표지판, 신호등 등의 정보를 골라낸다. 머신러닝을 이용해 완벽히 자동화해 정보를 처리할 수도 있지만, 아직은 머신러닝 기술이 100% 완전하다고 볼 수 없고 어차피 사람이 검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래도 하이브리드 매핑 기술로 사람이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이 훨씬 줄었다. ... ...
- 미래 모빌리티 도시 공간구조를 바꾸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친환경 도시로 나아가려면 자율주행 기술을 통한 자동차 공유를 활성화하고, 도시 내 자동차 총량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자율주행 기술이 승차 공유, 버스, 경전철 등과 만나 자율주행 대중교통 문화를 한층 업그레이드하고 걷기 좋은 도시환경을 조성하게 해야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8화. 숫자 암호가 안내한 곳은? 파헤칭단에게 보물을 뺏길 순 없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데려가 주세요~.’하지만 이런 꼴로는 페가수스 호에 탈 수 없었습니다. 한편 파헤칭단과 자동마비공 때문에 흐트러졌던 슈리타인의 태양계 보석 모형이 천천히 원래대로 돌아오고 있었습니다. 사라져 버린 고향을 영원히 기억하기 위해 만들어 둔 보물인 듯했습니다. 딱지는 그 아름다운 모습을 ... ...
- [SF 소설] 당신의 신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접시처럼 생긴 전파망원경이다. 지름이 700m나 된다. 휴식 시간에 나는 수수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설정해 놓고 일반인용 전망대에 서서 수수를 내려다보는 걸 좋아한다. 큰 몸집을 가진 수수가 360도 모든 각도마다 일일이 하나하나 안부인사를 하듯 고개를 돌리는 모습을 본다. 수수 덕분에 온 우주가 ... ...
- [만렙!디지털 리터러시] 검색왕이 되는 치트키 알려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디지털 안전을 위해 검색 결과 중 유해한 단어나 이미지가 있으면 검색 결과에서 자동으로 빼주는 ‘안전 검색’ 기능을 적용했어요. 우리나라 역시 ‘주니어 네이버’를 운영 중이죠. 안전한 검색엔진을 활용해 다양한 정보를 만나 보세요! ※ 필자소개김지훈(부산 창진초 교사). 안전하고 ...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분석해서 데이터를 만들어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연구팀은 ‘자동핵종분리장치’를 이용했습니다. 이트륨90만 선택적으로 잡아내는 물질을 이 장치에 설치하고 해수를 통과시키면 이트륨90을 쉽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원래 방식대로 하면 2주가 걸릴 일을 단 이틀 만에 할 수 ... ...
- 골든타임 만드는 빅데이터와 숫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물건을 사면 언제 어디서 무엇을 샀는지, 교통카드를 찍으면 우리가 어떻게 이동했는지 자동으로 기록돼요. 이렇게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빅데이터’라고 불러요. 빅데이터에서 중요한 정보를 뽑아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숫자’를 잘 다뤄야 한답니다. 하루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청소 대신해 줌! 로봇 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현실이 될 날이 머지 않아 보이네요. 로봇 팔로 물건을 집어 보자!토이트론의 ‘자동 로봇 팔’로 로봇개 스팟의 임무를 직접 체험해 보세요. 우선 함께 들어 있는 설명서대로 부품을 조립합니다. 부품들이 잘 고정되도록 나사를 이용할 거예요. 나사가 더이상 돌지 않을 때까지 드라이버로 꽉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이른다”며 “다양한 종들의 독특한 반복서열 구조와 서열 유사도를 다룰 수 있는 자동화 기술을 설계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였다”고 설명했다.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연구지원을 받아 VGP에 한국 대표로 참여한 김희발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교수팀은 새롭게 밝혀낸 표준유전체와 예전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